中 ‘동북공정’ 갈수록 노골화

고구려 이어 발해까지 ‘중국史’에 포함…

고구려사와 발해사를 중국사에 포함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 東北工程)’ 작업이 노골화하고 있다.

중국은 30일 고구려 유목민의 후예가 건립한 발해의 옛 수도에 대한 유적지 보호 조례를 만들겠다고 나서는가 하면 최근 러·일 전쟁 당시 일본이 약탈해 간 발해 비석 ‘홍려정비’의 반환을 일측에 요구했다. 또 중앙정부 차원에서 옌볜(延邊) 조선족 자치 주에 한국과 북한의 문화역사까지 포함하는 대형 문화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나선 것도 동북공정 계획과 깊은 연관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이 같은 일련의 동북공정 중심지역이 북한과 마주한 중국 국경지대를 따라 지안(集安)-옌볜(延邊)-닝안(寧安)으로 이어지면서 북쪽에서 한반도를 압박하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중국은 먼저 발해의 중국사 편입을 위해 헤이룽장(黑龍江)성은 닝안시 보하이(渤海)진에 있는 발해의 옛 수도 상경용천부(上京 龍泉府) 유적 복원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해 유적이 몰려 있는 헤이룽장성은 이 작업을 법률적으로 뒷받침 하기 위해 ‘당(唐) 발해국 상경용천부 유적지 보호 조례’를 만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안건이 다음달 소집되는 헤이룽장성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정식으로 부쳐져 통과되면 중국 중앙정부는 즉각 복원사업에 나서며 복원 완료 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지난 2004년 고구려 유산의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지린(吉林)성 지안 등의 고구려 유적지를 대대적으로 정비한 바 있다.

닝안시와 그 상급 행정기관인 무단장(牧丹江)시는 지난해 하반기 부터 ‘상경용천부 유지 개발’, ‘발해국 상경용천부 유지 공원 ’, ‘발해국 상경용천부 유지 여유문화개발구’ 등의 명목으로 외국자본 및 중국 내 민간자본 유치에 나서고 있다. 특히 두 시 는 상경용천부 유적을 중심으로 공원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외국 자본과 중국 내 민간자본을 유치해 주변 경승지를 묶어 관광 단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중국은 발해를 ‘당나라 때 중국 동북지역에 말갈족과 다른 민족이 세운 소수민족 정권’으로 정의하고 있다. 중국은 1961년 상 경용천부 유적을 제1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한 뒤 2002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복원 준비작업을 해왔다.

앞서 중국은 러·일전쟁 당시 일본이 약탈해 간 발해비석 홍려정 비의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비석은 원래 당이 발해국 국왕을 ‘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책봉해 군신 관계를 맺었다는 내용이 새겨진 것으로, 랴오닝성 뤼순(旅順)시에 있던 것을 일본군이 전리품으로 가져다 메이지왕에게 바친 것이다.

또 중국 문화부와 옌볜 조선족 자치주 정부가 공동으로 옌볜에 대형 문화 단지를 조성할 계획인데, 이 안에 조선족 역사 외에 한국과 북한의 문화역사를 포함하는 내용이 대거 포함될 전망이어서 2002년 중국이 고구려 역사를 중국사에 편입하려 했던 동북공정 논란이 야기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일보 / 허민 특파원 2006-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