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전이와 억제 `두 얼굴' 가진 단백질 규명"

서울대 백성희 교수..1년간 네이처, 셀, PNAS 등에 관련 연구논문 기염

체내 특정 단백질과 결합해 암 전이를 일으킬 수도, 억제할 수도 있는 `두 얼굴'을 가진 단백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이에 따라 이 단백질을 조절하면 암의 최종 단계인 전이를 막을 수 있는 신개념의 항암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팀은 암 전이 억제유전자의 작동을 막는 단백질과 결합함으로써 암 전이를 일으키기도 하고 억제하기도 하는 `스모(SUMO)'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립암센터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셀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에 `주목할 만한 논문'(highlighted paper)으로 이날 실렸다.

특히 논문의 교신저자인 백성희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에 관련된 연구논문을 1년 동안 네이처(Nature), 셀(Cell), 美학술원회보(PNAS) 등의 유수 과학저널에 게재한 데 이어 이번에 또다시 네이처 셀바이올로지에 게재함으로써 동료 과학자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전립선암에서 `KAI1' 유전자의 암 전이 억제기능을 방해하는 렙틴(Reptin)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하던 중 이 단백질과 결합하는 스모 단백질이 암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스모 단백질이 렙틴과 결합하면 KAI1 유전자의 발현을 막고, 반대로 스모가 렙틴에서 떨어지면 KAI1 유전자가 활성화돼 암전이가 억제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즉 스모 단백질이 암의 진행 과정에서 전이를 억제 또는 조장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전이단계의 전립선 암세포주를 대상으로 한 분자실험에서도 이 같은 스모 단백질의 기능을 확인했다.

백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암 연구 분야의 최대 난제인 암전이 분야에서 스모 단백질이 암 전이를 켜고, 끌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에 규명된 스모 단백질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면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신개념 항암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김길원 기자 2006-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