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21세기 최대 산성비 우려"

KEI 보고서…南 '소비오염' 北 '생산오염'

"2090년까지 한반도 해수면 33.9-40.7㎝ 상승"

21세기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이 세계 최대의 산성비 피해 지역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와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환경정책연구원(KEI) 정회성 연구위원은 최근 금강산 관광지구 문화회관에서 환경관리공단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 참석, 이같이 전망하고 "한반도의 지리적인 위치가 심각한 동북아 환경문제의 최대 피해자가 될수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한국과 북한,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등 동북아 국가들의 산업화로 인해 오염물질 배출량이 급증하고 있고 국경을 넘나드는 오염물질의 양도 늘고 있다.

동북아 국가들에는 대기오염 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따른 산성비 강하, 서해의 연안 오염, 동해에서의 핵폐기물 투기 등이 시급한 환경오염 현안으로 등장했으며 밀접한 상호 협력 관계가 절실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북한의 환경문제는 남한의 70년대 후반기와 비슷하게 공해 방지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공장과 광산에 의한 오염 현상이 주류를 이루고, 산업폐기물이 버려져 수질ㆍ대기 오염을 야기하는 전형적인 `생산 오염' 형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체 면적의 80%가 산지인 북한은 땔나무 소비, 홍수 피해, `다락밭' 건설 등 개발과 벌목으로 산림이 크게 훼손돼 1970년 9천773㏊이던 산림 면적이 1997년에는 7천553㏊로 23%나 줄어들었다.

반면 남한은 공장 등에서 나오는 오염물질 보다는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폐기물 발생, 자동차 배기가스, 도시하수 등 `소비 오염'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 20세기 남한 기온은 1.5도 상승, 지구 전체가 평균 0.6도 오른 것과 큰 차이를 보였고 1908-1940년 사이 연평균 기온이 10-11도이던 것이 1970년 이후 12-13도로 높아졌다.

한반도 주역 해역은 2090년까지 해수면이 33.9-40.7㎝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고 지역적으론 서해안과 남해안이 동해안보다, 북한이 남한보다 해수면 상승에 더욱 취약할 것으로 예상됐다.

2100년까지 이산화탄소 농도가 2배로 증가하면 한반도 중부지역의 난온대림이 북위 38도에서 북위 40도까지 북상하게 됨에 따라 개마고원 등 아한대 강우림이 거의 사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이에 따라 남북한 환경분야 교류는 관광개발, 공단개발, 도시개발, 교통시설 개발 등 각종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사업에 대한 철저한 사전 환경성 검토와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주장했다.

정 연구위원은 31일 "남북이 공히 친환경적인 경제 협력사업을 추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남한의 자본과 기술을 동원해 북한의 식목사업 지원, 에너지와 관련된 협력 사업 등이 최우선 협력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김성용 기자 2006-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