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개막 ‘한국사회포럼 2006’ 들여다보니

‘팔짱만 끼고 있는 진보’. 사석에서 한 좌파학자가 내뱉은 말이다. ‘자본주의’,‘세계화’,‘WTO’,‘FTA’ 등에 대해 죽어라 저주만 할 뿐, 호소력 있는 정책·대안은 내놓지 못한다는 비판이다.

23∼25일 서울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리는 ‘한국사회포럼2006’은 한국의 대표적 진보진영 시민사회운동단체들이 총집결한 가운데 다음과 같이 묻는다. “그 수많은 단체가, 무수한 성명서를 내고 집회와 파업과 시위를 벌였음에도, 왜 달라진 것은 없는가.”

대중은 경험한 만큼 지지한다

진보는 ‘뉴라이트’를 비웃는다. 떠들썩하긴 한데 ‘조·중·동-한나라당과의 연대’를 빼면 아무 내용이 없다는 시각이 주류다. 그러나 김재중 월간 ‘말’지 기자는 ‘진보가 뉴라이트로부터 배워야 할 것’이라는 글을 통해 이런 인식을 비판한다. 물론 그도 뉴라이트의 공허함에는 공감한다. ‘포퓰리즘 정권’이라는 비판을 입에 달고 살지만, 정작 ‘반노무현 포퓰리즘’에 가장 속편하게 얹혀 사는 것이 바로 뉴라이트 자신이다. 그러나 뉴라이트에도 핵심은 있다. 바로 시장절대주의다. 여기서 김 기자는 되묻는다. “세금 적게 내자는데 반대할 사람 몇이나 있겠는가.” 더 직설적으로 “시장 대신 공공성을 강화하자던 숱한 파업 가운데 대중적 지지를 경험한 적이 있는가.”라고 묻는다. 대중의 지지는 “경험한 만큼”이다. 어쨌거나 ‘성장’이라는 단맛을 보여준 보수에 비해, 진보는 무엇을 보여줬느냐는 질문이다.

운동을 정당으로 연결할 실천론 있나

뉴라이트·황빠·월드컵과 WBC에서의 스포츠애국주의 등을 파시즘이니, 박정희시대 유산이니 하는 사람들은 대개 진보진영이다. 그러나 이런 유의 대중운동에서 진보진영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가.

출판사 후마니타스 박상훈 주간은 ‘민주화의 퇴행과 보수적 대중운동’을 통해 별 차별성이 없다고 비판한다. 그는 “보수운동이든 진보운동이든 대체로 공유하는 것은 정치에 대한 강한 거부감”이고 “광범위한 운동적인 동원을 통해 일거에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도 비슷하다고 지적한다. 여기서 그는 독일 나치즘은 ‘강한 운동’과 ‘약한 정당’ 때문이라는 독일 역사학자 한스 울리히 벨러의 지적을 인용한다. 우르르 몰려 다니며 구호는 잔뜩 외치는데, 제도권 내에서 정책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는 모른다는 것. 결국 문제의 핵심은 ‘운동의 부족’이 아니라 ‘차고 넘치는 운동을 정당을 통해 소화해낼 수 있는’ 한국적 실천론을 만드는 일이다.

‘엄마운동’,‘엄마정당’으로 변해야 산다

이쯤이면 얼른 ‘민주노동당’을 떠올릴 수 있다. 그렇기에 우석훈 초록정치연대 정책실장은 비판의 화살을 민노당에 겨눈다. 우 실장이 보기에 민노당의 진정한 문제는 흔히 말하는 ‘의석 수’가 아니다. 그의 비유에 따르자면 ‘군림하는 아빠정당’일 뿐,‘모시고 봉사하는 엄마정당’의 모습이 없다는 게 더 문제다.

그는 특히 지역정치·지역운동과의 협력 문제를 꼽는다. 지역정치·지역운동은 진보가 대중들의 실제 삶에 파고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그런데 민노당은 아무 생각이 없어보인다. 우 실장은 “지역 시민단체들은 여성이 많고 지역의 생활과 삶에 대해 얘기하는데 반해, 민노당원들은 중앙이나 정파에 대한 무용담이나 원초적이고 공격적인 계급 근본주의적 관점의 얘기만 늘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 실장은 이 때문에 “진보진영은 ‘엄마운동’,‘엄마정당’이라는 요구에 대해 답을 내놓아야” 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서울신문 / 조태성 기자 2006-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