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초등학교 입학식이다.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예비 학부모들는 요즘 걱정반 기대반 의 심정이다. ‘혹시 내 아이가 학교에 적응을 못하는 것은 아닌가’ ‘왕따당하지는 않을까’… 초등학교 신입생 자녀를 두었거나 자녀가 입학을 앞둔 소아정신과 여의사 세 명이 모였다.
명지병원 천근아 교수(8·7세 아들), 한림대 성심병원 홍현주 교수(9세 아들), 아주대병원 신윤미 교수(7·4세 딸) 등이다. 이들은 “부모들은 자녀와 항상 대화하고 이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자녀 입학 앞둔 부모들의 걱정
- 아이가 두려운 마음보다는 설레는 마음을 갖도록 해주세요. 글쓰기와 간단한 셈하기 등 초등학교에 기본적인 학습능력이 되어있는지 점검하세요.
일기 쓰기에 대한 훈련도 조금씩 시키는 것도 좋습니다.
- 학교생활의 규칙을 알려줘야 합니다. 다른 학생이 발표할 때는 기다리고 수업시간에 조용히 해야 한다는 등 규칙을 알려주세요.
-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분리불안증’을 느끼는 아이가 일부 있어요. 예를 들어 ‘내가 학교에 있는 동안에 엄마가 동생과 더 오래 있을
텐데’라고 불안해 하는 아이가 있는거죠. 이런 증세가 심할 경우 전문가를 찾아 치료를 받도록 하세요.
- 아이를 칭찬해 주세요. ‘학교에 가는 것은 네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아이, 왕따 당하지는 않을까
- 왕따가 일어나는 조건은 매우 다양합니다. ‘예쁘고 공부를 잘해서’ ‘집이 부자라고 자랑을 해서’ 등 주위에서 말하는 이유는 참 많아요.
그런데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평소에 자녀와 대화 루트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 자녀가 왕따를 당했다고 해서 바로 가해자를 찾아가 혼을 내면 안됩니다. 원인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자녀의 일이지만 일을 냉정하게 봐야
한다는 거죠.
- 아이가 평소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왕따를 예방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 일시적인 왕따의 경우 심각한 문제로 지속되는 것 같지는 않아요. 그러나 왕따가 지속적으로 연결되면 아이는 일상생활에서 의기소침해지고
자신감이 떨어지게 됩니다. 신체 이상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모든 부모들이 ‘우리 아이가 왕따의 피해자가 되면 어떡하나?’라고 걱정하지만 ‘왕따의 가해자가 되면 어떡하나’에 대해서는 별로 걱정하지
않습니다. 사실 가해자가 있으므로 피해자가 존재한다는 것도 알 필요가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