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유치원의 역사교육

유아 때부터 올바른 역사의식을 심어주기 위해서 앞으로는 유치원에서도 역사교육을 한다는 획기적인 방안이 발표되었다. 우리나라 역사를 바르게 알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 교육인적자원부의 결정이다.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을 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활동자료’도 만들어 보급한다.

역사를 올바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역사는 인간이 살아온 생활 경험의 축적이며, 현재의 인류를 형성하고 있는 바탕이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진로를 제시해주는 나침반의 역할도 한다.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는 것은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고, 미래의 방향을 가늠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그러나 올바른 역사의식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교육하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게 되는지, 또 어느 때부터 역사교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이런 점들에 대하여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을 찾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정답을 찾기 어렵다는 것은 그만큼 논란의 여지가 많다는 말이기도 하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올바른 역사의식이 반드시 ‘우리나라의 역사’에 관해 ‘유치원’ 때부터 배워야 형성되는지 의문이다. 한걸음 물러서서 유아기 때부터 우리나라 역사를 배우면 올바른 역사의식이 생기는지 의문이다.

이 물음에는 적어도 두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하나는 ‘유아기’라는 시점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나라의 역사’라는 대상이다. 아이들은 유아기 때부터 직접 간접으로 역사를 접한다. 그러나 유아기에 접하는 역사란 이야기라고 하는 편이 맞겠다. 역사 속에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배우는 것이다.

물론 역사이야기는 재미와 함께 교훈을 주며, 기초적인 역사의식을 심어준다. 그러나 역사이야기를 재미있게 듣는 것은 유치원에서 ‘역사공부’를 시키는 것과는 다르다. 과연 유치원에서부터 ‘백제시대의 유물을 통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나타내고’ ‘일본이 부러워한 백제문화’라고, 비교우위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한가?

이러한 의문은 가르치려고 하는 내용을 보면 더 커진다. 교육부는 명백히 ‘우리나라 역사’를 가르치려고 한다. 역사를 가르칠 때는 대개 배우는 사람과 가까운 범주의 역사로부터 시작한다. 유아들은 시간관념과 공간관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라의 역사보다는 가족이나 마을과 관련된 역사를, 이야기 형식으로 배우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이번에 발표한 역사교육 계획은 우리나라 전 시대의 역사를 교육 범주에 넣었다. 그러한 점은 교육부가 만든 자료의 주제를 보면 금세 알 수 있다. 주제 10개는 우리나라의 시작 고조선, 광야의 꿈을 이룬 나라 고구려, 우리 문화의 자랑 백제, 신라의 역사보고서 경주, 화려한 문화의 나라 고려,500년을 지켜온 나라 조선(장군님 장군님 권율장군님), 조선의 자랑스러운 어머니 신사임당, 고난 속의 희망 일제강점기(마라톤 할아버지 손기정), 전쟁과 평화, 우리의 땅 독도이다. 비록 특정한 이야기나 놀이를 통해서 가르친다고 하지만, 전 시대를 다루는 기획이 효과적일지는 장담할 수 없다.

더더욱 문제인 것은 반드시 우리나라 역사로 역사를 가르쳐야 하는가 하는 점이다. 역사는 과거 인간이 살아온 삶의 궤적이다. 그 인간은 우리나라 사람일 수도 있고, 다른 나라 사람일 수도 있다. 역사교육을 통해 갖게 되는 역사의식 속에는 한국인으로서의 의식도 있지만, 세계인으로서의 의식도 있다. 한국적 가치도 있지만, 보편적 가치도 있다는 것이다. 양자의 선후나 중요도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적다고 하더라도, 교육부의 이번 발표는 유치원 때부터 한국인으로 확실히 키우겠다는 계획으로 들린다. 그 결과 자라나는 아이들이 국가 중심의 폐쇄적 역사의식을 갖게 될 가능성은 없을까 걱정된다.

안병우 한신대 국사학 교수

(서울신문 2006-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