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새 손잡이는 三足烏로”

새로운 국새(國璽)의 손잡이(인뉴)는 삼족오(三足烏)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자치부는 미세한 균열이 발견된 기존의 국새를 대체할 새 국새제작을 위해 지난해 10월24일부터 12월 말까지 국민제안을 접수한 결과, 국새 손잡이를 삼족오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9건으로 가장 많았다고 15일 밝혔다. 삼족오는 태양에 산다는 신화속의 세 발 까마귀다. 고구려 고분벽화나 중국 문헌 등에 등장하는 등 동북아시아에서는 친숙한 존재다. 이집트 벽화에서도 발견됐다.

삼족오 제안자들은 고구려 벽화를 보면 삼족오가 중국의 상징인 용과 우리나라의 상징인 봉황을 거느리고 있어 용과 봉황보다 상위의 문화 상징이 될 수 있고, 고구려 전통을 되살리는 의미도 있다고 주장했다. 기존의 국새 손잡이는 암수 한쌍으로 된 봉황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와 함께 국새 글자체에 대한 의견은 훈민정음체가 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광개토대왕 비문 글자체가 3건으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광개토대왕 비문 글자체 제안자 한 명은 630명의 지지 서명도 함께 제출했다.

행자부는 국민제안 기간에 접수된 제안 내용을 2월에 구성되는 국새제작자문위원회에 보고해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국새제작 자문위원회 구성(1∼2월) ▲인뉴 형태·인문·크기·재질 결정(2∼8월) ▲국새모형 제작의뢰(9∼12월) ▲국새제작 감리단 구성(11∼12월) 등의 일정을 거쳐 2007년 1월 국새 모형 당선작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어 국새를 2007년 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1년 동안 제작할 계획이다.

한편 국새가 만들어진 것은 정부수립 직후와 1963,1999년 등 3차례다.

(서울신문 / 이두걸 기자 2006-1-16) 

[씨줄날줄] 三足烏

새 국새 제작을 앞두고 행정자치부가 국민 제안을 받은 결과 국새의 인뉴(손잡이) 형태는 삼족오(三足烏), 곧 세 발 달린 까마귀로 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고 한다. 제안 건수에서 용·봉황·백호를 합한 만큼이 삼족오를 추천했다니 그 인기를 가히 짐작할 만하다. 그리고 그 인기는 삼족오가 고구려의 상징 문양이라는 데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삼족오는 고구려의 전유물이 아니다. 중국에서는 고대로부터 해를 세발 까마귀로, 달을 두꺼비로 표현하는 전승이 이어져왔다. 예컨대 요 임금 시절(단군과 같은 시기) 하늘에 해가 열개나 떠 산천초목을 태우니 요 임금이 신궁인 예를 불러 해를 쏘게 했다, 예가 해를 쏘아 맞히니 거대한 금빛 삼족오가 떨어져 죽었다는 신화가 존재한다. 일본에도 길을 잃고 헤매는 신무(神武)왕을 세발 달린 까마귀가 인도했다는 건국신화가 있다. 결국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는 동북아시아 일대에 널리 퍼진 문화상징인 것이다.

그렇다고 고구려의 삼족오가 의미를 잃는 것은 물론 아니다. 현재 남아 있는 유적·유물들만 보아도 고구려에서는 중국·일본보다 삼족오라는 상징을 일상생활에서 훨씬 다양하게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고분 가운데 쌍영총, 무용총, 각저총, 진파리 1·7호분 등 곳곳에서 삼족오는 벽화의 한 부분으로, 또는 금동장식품이나 베갯모·목침의 장식 등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특히 진파리7호분에서 나온 금동 장식품은 삼족오를 중심에 두고 용 두 마리와 봉황을 주위에 배치해, 삼족오를 용·봉황보다 우위에 두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삼족오뿐이 아니다. 까마귀 자체가 한민족에게 빛의 상징물이었다. ‘삼국유사’에 실린 신라때 연오랑(延烏郞)·세오녀(細烏女)부부의 설화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바닷가에 살던 이 부부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일본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왕과 왕비가 되었는데 그 뒤로 신라의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는 내용이다. 일월을 상징하는 이 부부의 이름에는 공통으로 ‘烏’자가 들어 있다. 삼족오를 국새 손잡이에 올리는 데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 다만 동북아시아에 널리 퍼진 문화상징인 만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삼으려면 그 의미를 더욱 확실하게 밝혀낼 필요는 있다.

(서울신문 / 이용원 논설위원 2006-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