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 썰물이 남극얼음 무너뜨린다…위아래로 60cm ‘출렁 출렁’

남극 빙붕(氷棚)이 녹아내리고 있는 것은 1차적으로 지구의 온난화가 원인이다. 하지만 빙붕이 최종적으로 ‘붕괴’하는 데는 바닷물 흐름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과학자가 미국항공우주국(NASA) 인공위성으로 남극 빙붕의 붕괴에 큰 영향을 주는 바닷물 흐름을 조사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지구과학부 한신찬(30) 연구원은 “NASA의 쌍둥이위성 ‘그레이스’를 이용해 남극 빙붕 밑을 흐르는 밀물과 썰물에 대한 전체 지도를 작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 한국인 과학자 위성지도 작성 성공

이번 연구 성과는 지구과학 분야 권위지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 최신호에 실렸고 7일 미국 지구물리학회에서 발표됐다.

연구팀은 칠레에서 가까운 라센 빙붕과 필히너-론 빙붕의 밑바닥을 흐르는 밀물과 썰물을 조사한 결과 밀물과 썰물의 바닷물 높이가 최대 60cm가량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한 연구원은 “이는 면적이 한국보다 훨씬 더 크고 두께가 약 2km나 되는 빙붕이 60cm씩 출렁거린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라센 빙붕은 1995년 거대한 빙하 덩어리가 떨어져 나와 많은 사람의 주목을 받았던 대상이다.

그는 “하루에 두 번씩 생기는 밀물과 썰물은 남극 빙붕을 위아래로 자꾸 흔들어대기 때문에 빙붕을 깎아내고 심지어 붕괴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 온난화 따른 해수면 높이 변화의 중요한 단서

그는 또 “밀물과 썰물로 인해 바닷물 높이가 달라지는 효과는 지구 온난화로 남극의 빙붕이 얼마나 녹아 해수면이 어느 정도 올라가는지를 알아낼 때 중요하게 감안해야 한다”고 이번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그레이스 위성은 어떻게 밀물과 썰물의 변화를 측정했을까. 그레이스는 똑같은 위성 2대가 고도 450km 상공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지구를 도는데, 산이나 바다의 끌어당기는 힘(중력)에 따라 그 거리가 변한다.

예를 들어 바닷물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중력이 달라져 두 위성 간 거리는 변화한다. 이 거리 차이를 계산해 밀물과 썰물 때의 바닷물 높이를 알 수 있는 것. 한 연구원은 1998년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한 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2003년 오하이오주립대에서 ‘인공위성을 통한 지구 중력 모델링’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빙붕 :

대륙을 덮고 있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의 일부가 바다 위로 뻗어나온 부분. 빙붕이 붕괴되면서 크고 작은 빙산이 생긴다.

(동아일보 / 이충환 기자 2005-12-9)

베네치아, 수몰 위기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유산으로 물의 도시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지반침하에다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수몰될 위기는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파리에서 한상덕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역사적 건축물에 둘러싸인 베네치아의 명물 산마르코 광장이 최근 대규모 침수사태를 겪었습니다.

현재 물은 대부분 빠진 상태지만 만조때 강한 계절풍이 분다면 광장은 또 다시 물바다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베네치아는 갯벌위에 세워진 인공섬으로 최근에는 지반 침하외에도 지구 온난화에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한해 평균 40회 정도 물난리를 겪고 있습니다.

기록을 보면 20세기 초에는 침수가 한해 몇차례에 지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지반이 약 13센티 내려앉고 해수면은 약 10센티 상승해 매년 침수 횟수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100년 뒤에는 시 대부분이 물에 잠기게 된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모세 프로젝트라고 해서 개폐식 수문을 세워 바닷물을 막는 다거나 지하로 물을 흘려넣어 지반을 들어올리는 대책등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폭 20미터의 수문 79기를 세우는 모세 계획은 현재 20%의 공정을 보이고 있지만 효과가 의문시되고 환경 파괴의 우려로 환경단체나 주민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바닷물을 갈라 길을 낸 구약성서의 예언자 모세의 이름을 딴 이 베네치아 구출계획이 수몰 위기에 빠진 도시의 구세주가 될 지 어떨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한상덕입니다.

(KBS 2005-12-9)

지구온난화로 태평양의 섬들이 사라진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태평양의 섬들이 가라앉는 바람에 섬 주민들이 이주해야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반나아투 테구아 섬의 라토우 마을에 살고 있는 주민 백여명은 코코넛 농장의 대부분이 물속에 잠기기 시작한 지난 8월부터 섬을 버리고 이주하기 시작했다.

유엔 환경회의(UNEP)의 타이토 나칼레보우 기상 전문가는 최근 몬트리올에서 열린 189개국의 세계환경회의에서 "그 섬에는 더이상 사람이 살기 힘들다"고 말했다.

나칼레보우는 "소위 거대한 조류가 최근들어 더 강력해져 1년에 네 다섯차례 테구아 섬을 휩쓸고 있으며 이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한 북극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을 상승시키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유엔환경회의는 "라토우 정착지는 처음은 아니지만 기후 변화로 인한 인간이 이주해야하는 지역의 하나가 됐다"고 공식으로 밝혔다.

미국의 뉴올리언스와 이탈리아의 베니스 같은 많은 해안 지역들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에 치명타를 입을 가능성이 훨씬 높아졌다.

파푸아 뉴기니 해안의 주민 2천여명이 근처의 보우게인빌 섬으로 이주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지난 99년 두개의 키리바티 무인도와 테부아 타라와, 아바누에아섬이 물속으로 사라졌다.

알라스카의 쉬스마레프와 카나다의 투크토야크투그에 살고 있는 원주민들은 기후 변화 때문에 정착촌을 바꾸는 문제를 검토하고있다고 유엔의 관리들이 말했다.

클라우스 토퍼 UNEP 국장은 성명에서 "북극과 세계의 작은 섬들에 사는 사람들이 똑같은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얼음이 녹고 빙하가 가라앉고 해수면이 상승하며 폭풍우가 몰아치는 것은 결국은 지구상의 모든 인간들에게 닥칠 엉청난 기후변화의 최초의 징조라"고 그는 말했다.

과학자들은 해수면이 2100년까지 지구 온난화와 연계된 만년설의 해빙으로 거의 1미터 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유엔환경회의에 충고하고 있다.

빙하가 녹은 주요 원인이 각종 공장과 자동차 등의 화석 연료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때문이라는 것이다.

(노컷뉴스 / 김진오 특파원 2005-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