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동북공정·다케시마에 맞서는 ‘개화공정’

2005년은 1905년 11월17일 을사조약으로 일본에 국권을 상실한 지 꼭 100년이 되는 해다. 그때나 지금이나 우리의 생존권은 여전히 열강에 둘러싸여 늘 불안하다. 그 날을 기념하고 깨쳐 자강하자는 일종의 ‘불침번’의 다짐으로 단국대 인문과학응용연구소 주최로 개화공정(開化工程)전시회가 최근 서울 인사동에서 열렸다. 국치의 소용돌이를 다시 반복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서양의 격언도 ‘경계하는 것이 대비하는 것이다.’라고 가르치고 있다.

중국에 동북공정이 있고 일본에 ‘다케시마’가 있다면 우리에게는 조어(造語) ‘개화공정’이 있다. 작금 중국이 고구려의 산 역사를 자기기록이라 하고 일본이 한반도 부속 독도를 자기네 영토라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개화기시대 선배들의 나라사랑과 자주독립의 정신으로 재무장하여 이런 따위 신팽창주의를 온몸으로 막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의 역사와 영토를 유린하는 행위에 대해 성마른 우리는, 나라사랑으로, 이제 자존을 걸고 뭉친 목소리를 내놓을 때다. 영국의 바이런이던가.‘조국을 사랑하지 않은 자는 이 세상에 사랑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했다. 그러므로 세기말 풍전등화와 같은 국가존망의 위기를 헤쳐 나아가려 했던 소위 개화기시대 선각자들이 남긴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서 그들의 시대적 고뇌와 지혜와 나라사랑을 오늘에 되살려 보고자 한 개화공정전시회는 나름의 의의와 사명이 있었다. 오늘의 우리, 또는 미래 한반도의 안정이 보장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한국민의 힘을 우선적으로 결집시키는 가장 설득력있는 아이디어는 이 시대에 고귀하고 절박한 ‘나라사랑’이라는 주제어라고 굳게 믿는 까닭에 더욱 그러하였으리라. 혹 그분들의 혼이 계셔서 이 전시장을 찾아 미더워하시지는 않았을까.

그러나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았다. 첫째, 언론의 관심이 미지근했다. 여러 가지 이유로 홍보를 자제한 탓도 없지 않았으나 결과적으로 기대에 못 미쳤다. 언론은 친일과거사 문제는 그토록 매달리면서 개화과거사는 왜 그렇게들 무심한가 말이다.

둘째, 전시작품 선정에 있어서는 세칭 매국노가 아니고서는 어떤 방식으로든지 개화기를 대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작품을 모두 게시하려 했다. 단 이완용은 매국행위의 상징적 차원에서, 중국의 이홍장과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는 성격이 달라서, 예외로 처리하여 걸었다. 그러나 우리의 이런 일련의 판단은 일부 사람들의 생각과 차이가 있던 탓으로 협박 전화와 항의 방문이 잦았다. 우리는 서로 같음에는 관대해도 다름에는 정말 인색하다.

셋째, 요즘 미술작품 위작시비가 한창인데, 우리 전시회의 경우도 준비에 만전을 기한다고 애썼지만 일부 작품이 위작논쟁에 휘말렸다. 위작문제가 초래된 것은 유감이지만 정작 작품의 진위판별이 쉽지 않은 탓이다.

이런 몇가지 불찰이 있었지만 개화공정전시회는 앞으로 중단없이 계속될 것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이 사라지고 일본의 다케시마가 쇠잔하는 그날까지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공정은, 이웃과 싸우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스스로 깨치고 경계하는 안으로 정신운동이며, 밖으로는 중국과 일본에 보내는 미래 공존공영을 위한 평화의 메시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개화공정은 동북아의, 아시아의, 그리고 세계의 평화를 위한 작은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황필홍 단국대 인문과학응용연구소장>

(서울신문 2005-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