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문가들 활용 못해 아쉬워”

인터뷰 - 동서문제연구원 박태규 원장

“일본 정부는 일반 대학 교수나 연구원 등과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아이디어와 이슈에 따른 분석·전략 등을 참고하고 정책에 직접 반영하죠. 그런데 우리는 무슨 이슈가 생기면 세미나등을 통해 한번씩 만났다가 헤어지는 등 일회성에서 그치고 말죠. 전문가들을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본처럼 우리 정부도 민간 학자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필요합니다.”

박태규 동서문제연구원 원장이 가장 아쉬움을 토로한 부분은 연구원과 정부간 긴밀한 연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문제, 일본과의 독도 문제, 북한 핵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면 이 문제만을 집중적으로 연구·조사해온 교수들이나 연구원들에게 조언을 구하는 게 필요하다는 게 박 원장의 생각. 하지만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와 달리 학자들을 적극 활용하지 못하거나, 이들의 도움을 받으려 하지 않는다는 게 연구원측의 주장이다.

함께 인터뷰에 참여한 김우준 교수(연구원·정치학)도 “자문위원회 등이 각 정부 부처에 있기는 하지만 많은 한계가 있을 수 있고, 때문에 젊은 학자들과 꾸준한 만남을 통해 여러가지 사안에 대해 논의하는 게 서로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일이 많아서 학자들에게 조언을 구할 여력이 없는 것인지, 아니면 전문가들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박 원장이 정부 정책에 전문가들을 적극 활용해야한다고 강조하는 배경에는 동서문제연구원이 그동안 쌓아온 성과에 대한 자부심이 한 몫 하는 듯 했다.

박 원장은 연구원이 수십년간 ‘지역연구’ 몰두해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80년대만 해도 생소했던 ‘지역학’을 선도한 덕분에, 이제는 세계 주요 지역을 비롯해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지역의 다양한 정보와 축적된 성과물들이 많다. 활용 가능한 정보들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박 원장은 또 “우리와 별개로 생각할 수 없는 동북아 지역 연구(동북아개발센터), 일본 등과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한 해양외교 문제(해양문제연구센터),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NGO·NPO 문제(NPO 연구센터) 등 지역별·주제별 연구에 그간 많은 성과물이 있었다고 자부한다”고 밝혔다.

박 원장은 “우리 연구원 뿐만 아니라 다른 민간학자들의 다양한 인재들을 적극 지원하고 활용하는 게 우리에겐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내일신문 / 이숙현 기자 2005-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