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담·세배·씨름·활쏘기… 한민족과 같은 뿌리

한민족 문화의 시원지로 여겨지는 시베리아 지역 유목민에 대한 현지 민속조사가 최초로 이뤄져 눈길을 끈다.

▲ 한민족 문화의 원류인 시베리아 유목민 투바인에 대한 비교민속연구가 국내 최초로 이뤄졌다. 사진은 투바 어린이들이 씨름을 하는 모습.
민속박물관 제공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나라 문화의 원류를 찾기 위해 2003년부터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비교민속조사를 시작, 아시아대륙의 중앙에 위치한 ‘미지의 나라’ 투바공화국 민족의 삶과 문화에 대한 현지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투바민족 현지조사 보고서인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투바인의 삶과 문화’와 투바문화 편역집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투바인’ 발간을 통해서다.

보고서에는 투바인의 생업과 놀이, 종교, 의례, 세시풍속, 의식주생활 등이 국내 처음으로 자세히 기록돼 있다. 시베리아는 신화와 전설, 민담, 신앙관, 언어, 샤머니즘 등 많은 문화요소들이 우리나라와 매우 비슷하다. 또 지구상 마지막 남은 청정환경 지역으로 개발이 주목되며, 시베리아 횡단열차 연결로 인한 경제 활동루트로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투바는 지정학적으로 아시아대륙의 가운데에 놓여 남쪽으로 몽골, 서쪽으로 알타이 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면적은 한반도와 비슷하지만 인구는 35만명에 불과하다. 이 중 70%가 투바민족으로, 자민족 비율이 우리나라만큼 높다. 투바의 다른 명칭인 ‘우량하이’는 ‘오랑캐’ 로 알려져 있다.

투바는 고대 한민족의 문화적 원류지인 데다가 지정학적 중심지, 높은 자민족 비율 등의 특성뿐 아니라 유목·수렵문화 및 중국·몽골문화가 혼합돼 양쪽 문화의 근간을 엿볼 수 있다. 투바 곳곳에서 최초의 러시아 기마유목민인 스키타이 유물 발굴도 진행중이다.

특히 우리 민족문화와의 많은 유사성이 발견됐다. 샘(spring)제와 서낭당, 샤먼 등 민간신앙이 많이 남아 있고 저장음식 및 몽고풍의 민속복식이 존재하며 음력 기준의 정월풍습(덕담·세배) 등 세시풍속도 비슷하다. 또 씨름·활쏘기 등 유사한 민속놀이와, 우랄 알타이어계 민속어휘 등도 남아 있어 한국문화와의 역사적 연관연구가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민속박물관 관계자는 “투바 조사를 통해 동시베리아 지역과 한국문화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추가 분석작업을 통해 그 구체적 사실들을 규명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 김미경 기자 2005-10-12)

오랑캐의 탄생 / 니콜라 디코스모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