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 특집] 개천절 유래와 의미

겨레의 생일 개천절은 단군왕검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한 서기전 2333년 음력 10월3일을 기리기 위해 1949년 제정되었다.

그러나 ‘개천(開天)’이라는 본뜻을 엄밀히 따질 때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는 이보다 124년 앞서 단군의 아버지 환웅이 천신인 환인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백두산 신단주 아래 내려와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기원전 2457년 10월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날을 기리는 거족적인 제천의식은 고조선 이후부터 시작됐는데, 부여의 영고, 예맥의 무천, 고구려의 동맹, 신라와 고려의 팔관회 등에서 행해진 제천행사가 그 예다.

이 날이 개천절이라는 이름으로 경축일이 된 것은 1909년 나철이 대종교를 창시하면서부터다. 특히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음력 10월3일을 개천절로 공식 채택해 중국으로 망명한 대종교와 합동으로 경축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음력 10월 3일을 해마다 양력으로 환산하기 어렵고 ‘10월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지적에 따라 1949년부터 양력 10월3일로 바뀌었다.

10월3일이라는 개천절의 날짜는 우리민족이 10월을 상달(上月)이라 부르며 한 해 농사를 추수한 후 햇곡식으로 제상을 차려 제천행사를 행해 왔고, 오래 전부터 숫자 3을 길수(吉數)로 귀하게 여겨왔다는 데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문헌상으로는 재야사서 ‘단군세기’에 “개천 1565년 상월 3일에 신인 왕검이 오가의 우두머리로서 800인의 무리를 이끌고 와서 단목의 터에 자리잡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하지만 단군왕검의 고조선 건국은 신화일 뿐이라는 주류 학계의 입장으로 인해 개천절의 의미는 상당히 퇴색돼 왔다. 일부 종교학자와 종교인들이 단군을 신흥종교나 미신으로 취급, 전국의 수많은 단군상이 우상숭배를 철폐한다는 명목 하에 목을 절단당하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의 이념은 갈등과 대립으로 점철된 현대의 사회병리를 치유할 대안으로 그 현대적 의의를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신과 동물과 인간이 결합해 환웅-환인-단군 3대로 이어지는 단군신화의 내용은 사람과 사람, 국가와 국가, 문명과 환경이 대치하고 있는 이 시대 조화와 화합의 정신을 다시 한 번 되새기며, 통일 이후의 민족적 구심점의 역할을 기대하게 한다.

고려대 사학과 최광식 교수는 “북한도 단군을 민족시조로 섬기며 단군신화에 대한 연구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며 “민족시조에 대한 공통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조성된 민족의 일체감이 통일을 위한 연결고리가 되어주는 것은 물론 문화적 동질성을 이뤄나가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 박선영 기자 2005-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