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사이버전쟁 본격화

미국과 중국의 사이버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 연방수사국(FBI)과 국방부는 중국 정부가 조직적으로 미 정부의 컴퓨터를 해킹하는지 여부를 정밀 조사중이라고 워싱턴포스트와 CNN 등 미 언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웹사이트를 통해 미 정부 기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들어오려는 시도가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미측은 ▲중국 정부가 조직적으로 미 정부 기관을 해킹하려 하거나 ▲다른 세력이 중국을 통해 미 정부 시스템에 진입하려 한다는 두가지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조사하고 있다. 중국에는 네티즌이 수억명에 이르는 데다 미국과 사이버 범죄 조사 협정도 없기 때문에 해커의 정체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미 국내외에 500만대에 이르는 컴퓨터를 보유한 미 국방부는 해킹에 가장 많이 노출된 기관이다. 지난해에만 7만 9000건의 미 국방부 해킹 시도가 보고돼 2003년의 5만 4000건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그 가운데 실제로 국방부의 컴퓨터 시스템에까지 들어온 해킹 건수는 1300건이며, 대부분은 고급정보를 보유하지 않아 정보유출 위험도가 낮은 컴퓨터였다고 워싱턴포스트는 보도했다. 이와 함께 국무부, 에너지부, 국토보안부 등 미 정부의 컴퓨터 시스템이 해킹의 공격을 받고 있다. 미 정부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해킹이 성공해서 비밀자료가 유출된 사례는 없다.”면서도 “그러나 비밀이 아닌 자료들이라도 대량으로 적대세력에 넘어갈 경우 미국으로서는 불리한 입장에 설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이 중국 당국의 해킹을 우려하는 것은 최근 인민해방군이 사이버군을 대폭 강화한 것과 관련이 있다.

중국군은 당초 해커의 공격에 대한 방어 목적으로 사이버군을 창설했으나, 최근 인력 등을 대폭 확대하면서 방어를 넘어 공격 능력까지 갖췄다는 것이 미국측의 평가다. 전쟁 초기에 적국의 사이버 시스템에 접근해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등의 전략으로 결정적 우위를 갖는다는 개념 등이 포함됐다는 것이다. 미군도 지난해 전략사령부 아래 ‘글로벌 네트워크 오퍼레이션’이라는 합동팀을 구성,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 등과 관련한 업무를 일원화했다. 미군은 또 새로운 해킹 방지 및 감지 소프트웨어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컴퓨터 보안 전문가들을 대대적으로 육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신문 / 이도운 특파원 2005-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