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위 대란 막아라"

.오전 9시: 30도, 시청 정문 앞 시위대 집결, 무장경찰 배치 완료

.오전 10시: 38도, 2만여 명 시위 시작, 성 정부에 경찰 병력 지원 요청

.오전 11시: 시위대 투석으로 경찰관 16명 부상

.오전 11시30분: 시위 격화, 시 공무원 대피 명령, 시위대 2만여 명 청사 난입, 집기 대부분 파손됨

.정오: 시위대, 인근 고속도로 점거하고 부패타도.인권보호 등 외쳐

.오후 1시: 시 간부들 시위대와 대화, 귀가 전세버스 제공 약속

.오후 4시: 시위대 전세버스로 귀가

6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황스(黃石)시청이 시위대에 점거당한 날 담당 공무원이 작성한 일지다. 1976년 문화혁명 이후 시 청사가 시위대에 점거되기는 처음이다. 발단은 행정구역 재편이었다. 황스시가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다예(大冶)시를 구로 편입한 것이다. 국무원 승인도 받은 결정이었다. 다예시 주민들은 크게 반발했지만 황스시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 결국 4일 시위가 일어나기 시작해 6일엔 시 청사가 점거되는 사태로 발전했다. 황스시는 이런저런 말로 반발하는 다예시민들을 달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시가 합병될 수도 있다. 우리가 진짜 분개하는 것은 당신들이 우리의 의견을 들어보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은 점"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 하루 200건이 넘는 시위 = 중국에서 시위가 일상사가 되고 있다. 경제발전으로 인한 빈부격차 확대와 부정부패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이 18일 발표한 '허베이성 경제발전전략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北京)과 톈진(天津) 주변에서만 272만 명이 빈곤 상태에 방치돼 있다. 한 달 수입이 2만원 안팎인 극빈층이다. 보고서는 이들 빈민과 대도시 주민들 간 생활 격차는 50년이 넘는다고 지적했다.

중국 전체를 봐도 사정은 비슷하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최근 "경제성장에서 소외된 저소득 계층이 급격히 늘며 중국 사회가 불안상태에 빠져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딩위안주(丁元竹) 베이징대 교수 등 사회문제 전문가 3인이 작성한 보고서를 인용, 현재의 삶에 불만을 품고 있는 사람이 2억 명에는 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중 3200만~3600만 명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극도의 불만계층'으로 분류됐다.

중국 공안당국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7만4000여 건의 시위가 있었다. 하루 평균 202건이다. 이 가운데 50명 이상이 참가한 시위가 6만 건을 넘었다. 시위 참가자는 370여 만 명이었다. 10년 전에는 한해 시위가 1만 건 정도였다. 시위는 연 17%씩 늘고 있다는 게 공안당국의 설명이다. 중국 곳곳이 시위 대란에 휩싸인 형국이다.

◆ 당국, 진압 위해 헬기까지 동원 = 중국 경찰은 최근 시위진압 전문 부대를 창설했다. 물론 무력까지 갖췄다. 2008년 올림픽과 2010년 상하이 박람회를 앞두고 소요사태를 더 이상 방치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공안당국은 헬리콥터와 장갑차량으로 무장한 경찰부대를 전국 36개 도시에 배치할 예정이다. 저우융캉(周永康) 공안국장은 신화통신에 "테러범죄와 소요, 그리고 기타 비상사태에 대한 경찰의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 새 부대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새 경찰부대는 베이징과 상하이 같은 대도시의 경우 600명 단위로 배치된다. 중소도시는 이보다 적은 부대가 맡는다.

시위가 잦은 허난(河南)성의 성도 정저우(鄭州)시에는 3대의 무장헬기와 장갑차도 투입될 예정이다. 군 당국도 나섰다. 인민해방군 기관지인 해방군보(解放軍報)는 16일 "앞으로 군인들의 시위 참여가 엄격히 금지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공산당 군사위원회는 군인이 시위에 참여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시위 참여를 독려할 경우 바로 당적을 박탈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앙일보 / 최형규 특파원 2005-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