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좌뇌와 우뇌

며칠 전 우리의 젊은 골퍼 장정이 또 일을 냈다. 그런데 이런 일이 한두 번이 아니라 우리는 별로 놀라지 않는다. 박세리부터 이어진 돌풍이 잠잘 줄 모른다. 골프 말고 한국이 종주국 행세하는 스포츠가 또 있는데 양궁이 그것이다.

얼마전 세계 양궁대회에서는 남녀가 모두 종합우승을 했다. 한국 선수들이 하도 활을 잘 쏘니까 국제연맹에서 경기 규칙을 바꾸었지만 별 효과가 없었다. 골프나 양궁이나 한국에 들어온 지는 얼마 안 되는데 어찌해서 한국 선수들은 세계적으로 펄펄 나는 걸까?

나는 이것을 엉뚱하게 뇌의 기능을 가지고 설명하려 한다. 알려진 것처럼 사람의 뇌는 우뇌와 좌뇌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두 뇌의 기능이 서로 무척 다르다. 하도 달라 아예 우리의 뇌 속에는 다른 두 사람이 같이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게 났단다.

이 가운데 좌뇌는 논리나 이성 혹은 언어 습득 같은 능력을 담당하고, 우뇌는 감각·직관·공간 지각력 등을 관장한다. 이렇게 볼 때 한국인은 아무래도 우뇌 쪽이 발달한 것 같다. 우리 한국인은 논리적으로 차근차근 따지는 것보다 감정을 발산하면서 마시고 노래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병아리 암수 감별사 같은 직업은 대단히 섬세한 감각을 요구하는 거라 한민족만이 할 수 있다는 설이 있다. 또 한국인 가운데 세계적인 음악가가 많은 것도 우리가 우뇌가 발달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해준다. 그러나 같은 음악가도 소리를 지르면서 감정을 맘껏 발산하는 연주가만 많지 냉철한 논리를 사용해야 하는 작곡에서 세계적으로 이름난 한국인은 전 세계에 거의 없다.

우리의 언어 생활을 보아도 한국인의 우뇌 지향성을 잘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한국인들은 말을 정확하게 하려 하지 않는 것 같다. 가령 한국인들은 “어제 너무 그거 해서” 혹은 “왜 거시기 있잖아” 라는 식의 표현을 자주 쓴다. 그런데 이것은 정확한 표현을 찾으려는 수고를 하지 않으려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인은 좌뇌를 사용해서 엄밀한 언어를 구사하려 하기보다는 대충 해버리고 마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미국 영화를 보면 재판정에서 논쟁을 하는 영화가 대단히 많지만 우리나라 영화에는 그런 게 거의 없다. 설혹 있어도 어설프기 짝이 없다.

한국인들은 대신 풍부한 감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사물을 대범하게 본다. 서양인 혹은 일본인들이 매사를 따지는 것을 우리는‘쫀쫀하다’고 생각한다. 세부적인 것에는 별 관심이 없다. 오죽 이런 것을 좋아했으면 인기 코미디 프로인 봉숭아 학당의 경비원 장동민이 “그까짓 것 대충 그냥….”이라고 하는 말에 전 국민이 박장대소를 할까?

이런 한국인들의 성향이 유감없이 발휘되는 분야가 바로 양궁이나 골프 같은 스포츠이다. 이 두 경기는 부분에만 능한 좌뇌적인 계산보다는 전체적으로 보는 데에 능한 우뇌적인 감각으로 해야 한다. 무릇 활쏘기는 크게 보고 큰 감으로 대충 쏘아야지 수리적인 계산으로는 안 될 게다. 그런데 양궁보다 더 희한한 게 국궁이란다. 국궁은 과녁이 양궁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다. 외국인들은 특히 우리의 활쏘기를 보면 놀란단다. 공중에 대고 그냥 쏘는 것 같은데 그게 그 먼 과녁에 척척 들어맞으니 말이다.

우리의 이런 능력은 골프에서 다시 확인된다. 우리나라에 골프가 들어온 지 불과 몇 십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세계적인 (여성) 골퍼들이 전 세계를 주름잡는다.

나는 이 기현상을 볼 때마다 화살을 먼 과녁에 맞히는 거나 공을 먼 구멍에 집어넣는 거나 정확히 같은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큰 감으로 대충 하는 데에는 전 세계에 우리를 따라갈 자가 없는 것이다.

문제는 우리가 좌뇌적인 합리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데에 있다. 이 능력만 향상된다면 한국인들은 지금보다 더 훌륭한 민족이 될 텐데 하는 작은 바람을 가져본다.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 교수>

(서울신문 200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