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日) 다카마쓰벽화, 고구려 영향 확인

쌍영총 벽화조각서 납안료 ‘연백’ 나와 日 고분서도 발견… 제작기법 전해진듯

밑그림을 그리는 데 납을 사용하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제작기법이 일본의 고분벽화에 강한 영향을 끼쳤음을 알려주는 단서가 발견됐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이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서기 5세기 고구려 쌍영총(雙楹塚) 벽화 조각에서 흰색 납 안료인 연백(鉛白·염기성 탄산납)을 사용한 것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안료는 벽화를 채색할 때 밑바탕으로 사용한 것이다.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박사는 “벽화 조각을 분석하던 중 그림이 그려진 부분에서만 납이 검출됐고 주변 여백에선 검출되지 않았다”며 “색감을 두드러지게 표현하기 위해 이 안료를 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보통 벽면에 석회를 바른 뒤 그림을 그리거나(프레스코기법) 돌로 된 벽에 바로 그림을 그렸는데, 쌍영총은 석회를 바른 다음 윤곽선을 그리고 그 윤곽 안에 연백을 바른 뒤 그림을 그렸음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연백을 바른 기법은 1972년 발견된 일본 나라현의 다카마쓰(高松) 고분벽화(서기 7~8세기)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유 박사는 “다카마쓰 고분은 발견 당시부터 무덤에 그려진 인물들의 복장 등에서 고구려·백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됐다”며 “연백을 바르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제작기법이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쌍영총은 평남 용강군에 있는 고구려 고분. 큰 기둥(楹·영) 두 개(雙·쌍)가 무덤에 있어서 쌍영총이라 한다. 이 벽화 조각은 일본인들이 1910년대에 떼어내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신인 조선총독부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었다.

(조선일보 / 유석재 기자 2005-4-22)

고구려 벽화는 日벽화의 뿌리… 7세기 다카마쓰즈카에 영향

1972년 발굴 직후부터 고구려 복장으로 보이는 남녀 인물들의 그림으로 화제를 모았던 7, 8세기 무렵의 일본 다카마쓰즈카(高松塚) 벽화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유래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단서가 발견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1일 용산 새 박물관 고고관에 전시할 예정인 5세기 무렵의 고구려 쌍영총 기마인물상 벽화 조각을 X선 형광분석기로 조사한 결과, 다카마쓰즈카 벽화와 비슷한 재료와 기법이 사용됐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최근 다카마쓰즈카 벽화에 백색 납(Pb) 안료인 연백(鉛白·염기성탄산납)이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는데 쌍영총 벽화 조각에서도 연백이 확인된 것.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연백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이영훈(李榮勳) 학예연구실장은 “다카마쓰즈카는 발견 당시부터 고구려나 백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 쌍영총 벽화에서 연백을 확인함으로써 고구려 고분벽화 제작기법이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 이철희 기자 2005-4-21)

'고구려벽화 日에 영향' 증거 확인

고구려 고분벽화가 일본에 영향을 미쳤음을 추정할 수 있는 실물 증거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용산의 새박물관 개관준비를 위해 고구려 쌍영총 벽화 조각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백색 납안료인 연백(鉛白ㆍ2PbCO3·Pb(OH)2 )을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연백은 중국에서 처음 만든 인공 안료로 문헌상으로 한(漢)나라 때부터 이용한 것으로 나와 있으며, 국내에서는 그 동안 8, 9세기에 제작된 그림에서 발견됐다.

그러나 이번에 기마인물상이 그려져 있는 쌍영총 벽화(5세기)의 채색 안료 밑 바탕에 이 안료가 칠해져 있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국내의 연백 사용시기가 훨씬 올라가게 됐다.

뿐만 아니라 이 연백은 지금까지 그림의 양식 만으로 설명돼온 고구려, 백제 벽화의 일본에의 영향을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 증거로 여겨지고 있다.

1972년 일본 나라(奈良)현에서 채색 벽화가 확인됨으로써 '전후최대의 역사 발견'이라며 일본 열도를 떠들썩하게 하고 일본국보로 지정된 다카마쓰즈카(高松塚)은 동서북 벽에 청룡 백호 현무가, 천정에는 별자리가 그려져 있고 인물 복장도 고구려풍이어서 고구려 고분벽화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돼왔다.

그런데 최근 연구결과 이 고분의 벽화에도 연백이 칠해져 있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 이영훈 학예연구실장은 "쌍영총 벽화의 연백은 일본 다카마쓰보다 200년 이상 앞서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고구려 고분벽화의 제작기법이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백 확인은 고구려 벽화의 제작기법 규명의 첫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조사결과 이 연백은 기마인물상 그림의 윤곽선 안에 집중적으로 칠해져 있고 배경에는 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즉, 발색(發色)을 좋게 하기 위해 칠한 것으로 보이는 이러한 연백 기법은 다카마쓰에서도 확인되는 것이라고 유해선 학예연구사는 말했다. 유 연구사는 "고구려 무덤벽화는 대개 벽면에 석회를 바르고 그림을 그리거나 석벽에 바로 그림을 그렸는데, 쌍영총 벽화의 경우 석회를 바른 다음 윤곽선을 그리고 윤곽선 내부에 연백을 칠한 뒤 그림을 그렸음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 남경욱 기자 2005-4-21)

고구려 쌍영총 벽화 밑그림은 백색 납안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처리 과정서 확인, 천마총 출토 천마도 물감에도 납 안료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에 소장 중인 고구려 쌍영총 기마인물상 벽화 밑그림은 백색 납 안료인 연백<염기성탄산납.2PbCO3ㆍPb(OH)2>인 것으로 확인됐다.

박물관은 오는 10월28일 개관 예정인 새용산박물관 개관 준비를 위해 고고관 전시예정품인 이 벽화편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최근 독일에서 1억2천만원에 구입한 첨단장비인 마이크로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결과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21일 말했다.

강형태 박물관 보존과학실장은 "이 기계를 이용해 해당 물체에 X선을 쏘면 성분마다 다른 X선을 낸다"면서 "이번 연구성과 또한 유물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한 비파괴 검사의 일종"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같은 기계는 국내에서는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공주대 정도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기마인물상 중에서도 연백은 화살통을 메고 머리에는 새 깃털 두 개를 꽂은 채 말을 달리고 있는 인물상 중에서도 왼쪽 어깨 부근 흰 바탕에서 확인됐다.

박물관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연백이 확인된 것을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로 볼 때 적어도 쌍영총 벽화는 석회를 바른 다음에 윤곽선을 그리고 윤곽 내부에는 연백을 도포한 뒤에 그림을 그렸음을 알 수 있게 됐다.

이런 추정은 같은 벽화면 중에서도 그림이 그려져 있는 부분에서는 납이 검출된데 반해 그림 주변 여백에서는 납이 검출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뒷받침된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제작기법에서 벽면에 석회를 바르고 그림을 그리거나 석벽에 바로 그림을 그렸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번 조사대상이 된 쌍영총 기마인물상 편만 해도 애초 무덤 벽면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그 단면에는 석회를 칠해 바탕을 조성했음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건무 관장은 "1972년 발견된 7-8세기 무렵 일본 다카마쓰즈카(高松塚) 무덤 벽화에서도 최근 조사결과 연백이 도포된 사실이 확인된 바 있다"면서 "벽화는 발견 당시에 이미 고구려 또는 백제 영향이 짙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이런 추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자료가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그림 제작에서 납을 포함한 연백을 물감 재료로 활용하는 전통은 조선시대 회화작품에서도 발견되곤 한다.

지금까지 확인된 고고미술 자료 중 납 성분이 함유된 안료는 경주 천마총 출토 천마도에서 확인된 바 있다.

1997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천마도를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실시한 안료 분석 결과에 의하면 흰색은 호분(胡粉), 흑색은 먹(默), 그리고 적색은 진사(辰砂. HgS)와 연단(鉛丹.PB3O4)임이 밝혀졌다.

(연합뉴스 / 김태식 기자 2005-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