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장성 통제도 “인터넷은 못말려”

중국 방대한 사이버수사대 감시망 불구
검열 피하며 정보교환…반일시위 집결

중국 당국이 젊은이들 사이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 교신’의 폭발력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언론 통제가 심한 중국에서 당국은 방대한 ‘인터넷 감시 경찰’을 통해 인터넷의 모든 웹페이지를 검열하고 이른바 ‘문제 있는’ 글을 삭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3주 동안 주말마다 전개된 반일시위에서 이런 감시망의 허점이 드러났다. 네티즌들은 얼마든지 경찰의 감시망을 피해 인터넷으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집결하고 시위를 벌일 수 있음을 보여줬다.

지난 16~17일 반일시위의 집결 장소와 행진 노선이 인터넷을 통해 공개됐을 때 중국 공안 당국은 이 웹페이지들을 찾아 삭제하기 위해 모든 ‘인터넷 경찰’을 동원했다. 그러나 네티즌들은 검열을 피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았다. 예를 들어 인터넷 경찰은 ‘일본’, ‘시위’, ‘집회’ 등 ‘민감한 낱말’을 검색하는 방법을 통해 웹페이지를 검열했지만, 네티즌들은 이 민감한 낱말 사이에 부호를 넣거나, 기호화하거나, 한 칸을 띄우거나, 아예 비워두는 등의 방식으로 피해갔다. 가령 ‘일본’을 ‘일*본’으로 적는 식이다. 이런 방식은 이미 네티즌 사이에서 일반화돼 있다. 지난해 봄 천안문사건 재평가를 요구한 장옌융(74) 전 301병원 군의관의 공개서한 등 당국이 금지하고 있는 문서들은 모두 ‘예민’한 낱말을 이런 식으로 변형된 채 인터넷에 유통되고 있다. 네티즌들이 탐독하는 문서 가운데 하나인 장옌융 공개서한의 경우 ‘천안문’이 ‘천*안*문’으로, ‘6·4’는 ‘6**4’ 등으로 변형돼 인터넷에 흘러다니고 있다.

최근 홍콩 〈아주시보〉가 전하는 내용을 보면, 후진타오 중국 국가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 등 최고 지도자들까지도 최근에는 비서가 요약 정리한 ‘인터넷 정보 보고’를 매일 받아 읽고 있다. 이 신문은 “중난하이(중국 고위 지도자들이 모여 사는 곳)의 정책 결정자들도 인터넷과 휴대전화 등 ‘전자 민주주의’의 위력을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인터넷이 이미 ‘민의’의 표출 통로로 자리를 잡은 셈이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중국 당국도 인터넷과 휴대전화 메시지로 응수하기 시작했다.

홍콩 〈명보〉 보도 내용을 보면 상하이의 공안당국은 지난 주말 시민들에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보내 “시위는 반드시 법에 따라 질서 있게 진행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겨레신문 /이상수 특파원 2005-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