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도 지역으로 백제 사람들의 대량 이주

Massive Influx of the Paekche People into the Yamato Region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백제 사람들이 야마도 지역으로 대량 이주해 온 사실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동경대의 이시다(石田) 교수는 “사학자들에 의한 상세한 연구는, 야마도 조정에 의해 일본이 통일된 직후에 최대규모의 이민 물결이 있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데, 만일 야마도 조정이 한국과 아무런 관련도 없이 세워졌다고 한다면, 이러한 대규모 이민의 유입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라고 말했다. 또, 일본서기를 읽어보면, 백제 왕실과 야마도 왕실이 아주 가까운 친족 관계일 것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받게 된다. 예컨대, 야마도 조정에는 백제 왕족 가운데 누군가가 거의 항상 체류를 하고 있었다. 815년에 편찬 완료된 신찬성씨록을 보면, 황족 중에서 으뜸가는 마히또(眞人) 씨족을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간주 할 수 있다. 이 모든 기록들은, 4세기 말에 일본열도에 야마도 왕국을 세운 것은 백제 사람들이고, 천황족의 뿌리는 백제 왕실이라는 이론과 부합한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Massive Influx of the Paekche People into the Yamato Region

close kinship between the royal families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We owe to Kojiki and Nihongi a detailed account of the massive influx of the Paekche people into the Yamato region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amato kingdom.1

Dongyi-zhuan, which was compiled in the late third century, records that there was no horse in the Japanese islands. Kojiki and Nihongi record the official arrival of horses in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King of Paekche sent A-chik-ki with two quiet horses (one stallion and one mare, specifies Kojiki) in 404, the fifteenth year of Oujin’s reign. Because A-chik-ki was well-read in the classics, the Heir Apparent made him his teacher. Oujin (Homuda) asked A-chik-ki whether there were other learned men superior to him, and he answered that there was such a man named Wang-in. Wang-in arrived from Paekche in 405, and the Heir Apparent learned various books from him. A-chik-ki became the ancestor of the Scribes, and Wang-in became the ancestor of the Chief Writers. Kojiki adds that the King of Paekche also sent for a blacksmith and a weaver. There also arrived a man who knew how to brew wine. He brewed a great wine and King Oujin greatly rejoiced in that wine.2

Nihongi records the construction of a reservoir in 396, the seventh year of Oujin’s reign, by a group of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Kojiki records that there came some people from Silla, who constructed a reservoir under the command of Take-uchi and called it “Paekche reservoir.” Nihongi records that the King of Paekche sent for a seamstress named Chin-mo-chin in 403, who became the ancestress of the seamstresses of Kume.3

According to Nihongi, Kung-wol, the progenitor of the Hata clan, arrived at Yamato in 403 (the fourteenth year of Oujin) from “Paekche,” leading the people of 120 provinces, and in 409 (twentieth year of Oujin), Achi, the progenitor of the Yamato Aya clan, also arrived with the people of 17 provinces.4 The records of both Samguk-sagi (for the year 399) and King Kwang-gae-to epitaph (for the year 400) corroborate the possible sequence of the massive movement of people from Paekche to the Japanese islands precisely at about this time.5

According to the Shinsen Shoujiroku, the Hata people were dispersed in various provinces during the reign of Nintoku and let undertake sericulture and the manufacturing of silk for the court. It is recorded that, by the late fifth century (in the reign of King Yūriaku), the size of the Hata clan amounted to 18,670 persons consisting of 92 Be.6

According to the Shoku-Nihongi, the province of Takechi, which was the very center of the Yamato kingdom, was so full of Aya people that the people of other clans accounted for only one or two out of ten.7 According to the Shinsen Shoujiroku, Achi obtained the permission (from Oujin) to establish the Province of Imaki (Newly Arrived) that was later renamed Takechi, but the place came to be so crowded with the Aya people that they had to be dispersed into various other provinces. Harima Fudoki records an instance of such a relocation of the Aya people as well as their matrimonial relationship with the Hata people. Harima Fudoki also states: “In the reign of Homuda, Paekche people arrived at this place and built a castle as they used to do in their homeland, making it their dwelling. Hence the place is called Ki (Walls) Mure Mountain [Walled Mountain Fortress].” 8

According to Nihongi, a large number of skilled workers, including saddle-makers, potters, painters, and silk-makers arrived at Yamato from Paekche in the seventh year of Yūriaku’s reign [463].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se newly arrived skilled workers from those that had arrived during the reign of Oujin (the Yamato Aya clan), they were called Newly-Arrived Aya (or New Aya), and were put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Yamato Aya clan.9

This massive movement of peoples clearly establishes a place for Korea in the story of the Yamato kingdom. Ishida (1974: 85), a Tokyo University professor of cultural anthropology, states: “Detailed research by historians has made clear that the greatest wave of immigration took place immediately after the unification of Japan by the Yamato court. If the Yamato court was established without any relation to Korea, how can these facts be explained?”

Close Kinship between the Paekche and Yamato Royal Families

If one reads Nihongi, one cannot but feel a very close kinship between the Paekche royal family and the Yamato royal family, witness the Paekche royal family members always staying at the Yamato court. The Heir Apparent Cheonji, the eldest son of Paekche King Asin (392-405), stayed at the Yamato court from 397 till 405. He returned to Paekche when Asin died in 405, and became King Cheonji (405-420).10 We also find in the Nihongi record that Cheonji sent his younger sister, Shinjedo, to the Yamato court, with seven maids, to wait on Oujin.11

Later, during the reign of Nintoku, who had succeeded Oujin, Paekche Prince Chu came to the Yamato court, trained a falcon, and went hawking with Nintoku. During the reign of King Kaero in Paekche (455-475), the Paekche court sent a daughter of Lady Mony to the Yamato court to become a queen of Yūriaku, but she was burnt at the stake after being found guilty of infidelity. Learning of this unfortunate incident, King Kaero sent his younger brother Konji to the Yamato court to assist Yūriaku.12

Nihongi (N1: 345-6) records that King Kaero gave Konji one of his consorts who was pregnant, instructing him to send back the baby if she should be delivered on the journey. The pregnant consort indeed gave birth to a child on an island in Kyūshū, and Konji immediately took a ship and sent the baby named Si-ma (island or Si-eom in Korean) back to Kaero. Nihongi records that it was the year 461. The child became King Mu-nyeong (501-23) of Paekche whose tomb was excavated at Kong-ju in 1971. The funerary inscription confirms that the King’s name was Sa-ma and that he died in 523 at the age of 62.  It was also discovered that his coffin was made of umbrella pine which grew only in southern Japan. The parasol pine may reach a height of 36 meters, with a trunk diameter of 1.2 meters.

When Paekche King Sam-keun (477-479) died in 479, the second son of Konji returned to Paekche and became King Tong-sung (479-501). Nihongi portrays the sorrow of Yūriaku parting from Konji’s son.13 In 505, Paekche King Mu-nyung sent a prince called Sa-a to assist the Yamato court. In April 597, King Wi-duck sent Prince A-jwa. Nihongi also records the arrival of Prince Pung-jang, a son of King Uija, in 631.14

The Shinsen Shoujiroku records the progenitors for the 1,182 Yamato ruling clans. The preface of the Register states that since the Ma-hito (Jin-person) is the sovereign one among the imperial clans, the Ma-hito clans in the capital region are presented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imperial group in Book One. According to the Register, however, all the Ma-hito clans can be regarded as the offspring of the Paekche royal family.15

The first four Ma-hito imperial clans listed at the very beginning of Book One of the Register were recorded as descendants of Homuda, the fifth clan as descendants of Keitai, the seven following Ma-hito clans as descendants of Bidatsu; then the following eight Ma-hito imperial clans (i.e., from the thirteenth to the twentieth) were recorded as the descendants of “the Prince of Paekche.” However, the twelfth one, that is, the Ma-hito clan immediately preceding those recorded as the descendants of the Prince of Paekche, was recorded not only as the descendant of Bidatsu but also as the offspring of the King of Paekche. In other words, “the descendants of Bidatsu” are equivalent to “the offspring of the King of Paekche.”16 According to Nihongi, Bidatsu was the second child of Kinmei, who was the rightful heir of Keitai, who in turn was “a descendant in the fifth generation” of Oujin (Homuda). Thus, the Register records that the entire Ma-hito imperial clan, from the first to the twentieth, were the offspring of “the King of Paekche.” This implies that the entire Oujin line of Japan’s imperial families originated from Paekche royal families.

Immediately after recording the Paek-chon River debacle and the fall of fortress Chu-yu in 663, Nihongi records the following dialogue: “Then the people of the country said to one another; Chu-yu has fallen; nothing more to be done now; this day the name of Paekche has become extinct; how can we pay visits to the place where the tombs of our ancestors are?”17 


BIBLIOGRAPHY

[각주]

1. Yamato is one of five provinces (國) of Kinai (畿內), which forms the present-day “Nara Prefecture.” Formerly the name of the province was written 大倭 (read Great Yamato) but in 737 the characters were changed to 大和 (also read Great Yamato). The Yamato Plain is about 30 km from north to south and 15 km from east to west.

2 亦百濟國主照古王 以牡馬壹疋 牝馬壹疋 付阿知吉師以貢上 此阿知吉師者 阿直史等之祖 . . . 又科賜百濟國 若有賢人者貢上 故 受命以貢上人 名和邇吉師 卽論語十卷 千字文一卷 . . . 此和邇吉師者文首等祖 . . . 又貢 上手人韓鍛 名卓素 亦吳服西素二人也 又. . . 及知釀酒人 名仁番 亦名須須許理等參渡來也 (K: 248)

應神 十五年 百濟王遣阿直伎 貢良馬二匹. . . 阿直伎亦能讀經典 卽太子. . .師焉 於是天皇問阿直伎曰 如勝汝博士亦有耶 對曰 有王仁者 是秀也 時遣. . .荒田別 . . .於百濟 仍徵王仁也 其阿直伎者 阿直伎史之始祖也 . . .十六年 . . .王仁來之 卽太子. . . 師之 習諸典籍於王仁 莫不通達 所謂王仁者 是書首等之始祖 (NI: 371-373)

3 亦新羅人參渡來 是以. . .命引率 爲役之堤池而 作百濟池 (K:  248)

應神 七年 高麗人百濟人任那人新羅人 並來朝 時命. . . 領諸韓人等作池 因以 名池號韓人池 (NI: 367)

應神 十四年 百濟王貢縫衣工女 曰眞毛津 是今來目衣縫之始祖也 (NI: 371)

4  亦百濟國主照古王 . . . 亦貢 . . . 又貢 . . . 又秦造之祖 漢直之祖 . . .等參渡來也 (K: 248)
應神 十四年 弓月君自百濟來歸 . . .領己國之人夫百卄縣 . . . 然因新羅人之拒 皆留加羅國 十六年 . . .乃率弓月之人夫 與襲津彦共來焉. . .卄年. . . 倭漢直祖阿知使主 . . .並率己之黨類十七縣而來歸焉 (NI: 371- 375)

阿智使主之黨類 自百濟國來歸也 日本三代實錄 (日本六國史 韓國關係 記事原文: 216-217).
 
5 阿莘王 八年 王欲侵高句麗 大徵兵馬 民苦於役 多奔新羅 戶口衰減 (S2: 45-46)

廣開土王碑文 十年 敎遣步騎五萬 往救新羅 . . . 自倭背急追至任那加羅從拔城 . . .倭寇大潰 城內十九盡拒隨倭

6 大泊瀨稚武天皇御世 . . . 秦民九十二部一萬八千六百七十人 (SS: 307)

仁德 御世 以百二十七縣秦氏 分置諸郡 卽使養蠶織絹貢之 (SS: 279)
7 阿智使主 . . .率十七縣人夫歸化 詔高市郡檜前村而居焉 凡高市郡內者 檜前忌寸及十七縣人夫 滿地而居 他姓者十而一二焉    (SN4: 380)

8 阿智王 譽田天皇御世..七姓漢人等歸化 . . .仍賜大和國檜隈郡鄕居之焉 . . . 飛鳥村主. . .錦部村主 . . .鞍作村主 播磨村主 漢人村主 今來村主 . . .等是其後也 爾時阿智王奏 建今來郡 後 改號高市郡 而人衆巨多 居地隘狹 更分置諸國 攝津. . .近江播磨. . .等 漢人村主是也 (SS: 358)

少宅里 本名漢部里 所以號漢部者 漢人居之此村 故以爲名所以後改曰少宅者 . . .祖父 娶少宅秦公之女 (F: 304)

播磨國風土記 神前郡 多駝里... 品太天皇 巡行之時...云墓 又云 城牟禮山 一云 掘城處者 品太 天皇御俗 參度來百濟人等 隨有 俗 造城居之 (F: 330)

9 雄略 七年 西漢才伎歡因知利. . . 取道於百濟 . . .集聚百濟所貢今來才伎. . . 天皇. . . 命東漢直 以新漢陶部. . .鞍部. . .畵部. . .錦部. . .譯語. . .等 遷居于. . . 或本云 吉備臣. . . 還自百濟 獻漢手人部 衣縫部 宏人部 (NI:  475-477)

10 應神 八年 百濟記云 . . . 阿花王 . . . 遣王子直支 (NI: 367)

腆支王 或云直支. . .阿莘在位第三年立爲太子 六年出質於倭國 十四年王薨 . . . 太子還國 . . . 國人 . . . 迎腆支卽位 (S2: 46)

應神 十六年 是歲 百濟阿花王薨 天皇召直支王謂之曰 汝返於國以嗣位 (NI: 373)

11 應神 三十九年 百濟直支王 遣其妹新齊都媛以令仕 爰. . . 率七婦女 而來歸焉 (NI: 379)

12 仁德 卌一年 百濟王之族 . . . 爰酒君來之. . .卌三年. . .捕異鳥. . .百濟俗號此鳥曰俱知 是今時鷹也 乃授酒君令養馴 未幾時而得馴. . .居腕上獻于天皇… 幸
. . .遊獵. . .乃放鷹令捕 (NI: 409)
雄略 二年 百濟池津媛 違天皇將幸 婬於. . . 天皇大怒 . . . 以火燒死 百濟新撰云 . . . 蓋鹵王立 . . . 天皇遣 . . . 來索女郞 百濟莊飾慕尼夫人女 貢進於天皇 (NI: 463)

雄略 五年 百濟 . . . 蓋鹵王. . . 告其弟. . . 昆支. .. 曰 汝宜往日本以事天皇 (NI: 471)

13 雄略卄三年 百濟文斤王薨 天王 以昆支王五子中 第二末多王 . . . 勅喚內裏 親撫頭面 誠勅慇懃 使王其國 . . . 是爲東城王 (NI: 497-499)

14 武烈七年 百濟王遣斯我君 . . . 百濟國主之骨族 (NII: 17)
推古五年 百濟王遣王子阿佐 (NII: 175)

舒明三年 百濟王義慈入王子豐章 (NII: 229)

15 枝別之宗 特立之祖 . . . 眞人是皇別之上氏也 幷集京畿以爲一卷 附皇別首 (SS: 146-147)

16 左京皇別 息長眞人 出自譽田天皇 諡應神 . . . 路眞人 出 自諡敏達皇子…王也 守山眞人 路眞人同祖…親王之後也 甘南 備眞人…路眞人同祖…大原眞人
出自諡敏達孫百濟王也 島根眞人 大原眞人同祖 百濟親王之後也 . . . 淸原眞人 桑田眞人同祖 百濟親王之後也 (SS: 149-152)

17 天智 二年九月 百濟州柔城 始降於唐 是時 國人相謂之曰 州柔降矣 . . .百濟之名 絶于今日 丘墓之所 豈能復往 (NII:  361)

 

wthong@wontackhong.pe.kr.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야마도 지역으로 백제 사람들의 대량 이주

백제 왕실과 야마도 왕실 사이의 근친관계
                                                             

홍원탁 (서울대 교수)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야마도 왕국이 수립된 직후에, 백제 사람들이 야마도 지역으로 대량 이주해 온 사실에 대해 자세한 기록을 하고 있다. 1 3세기 말에 편찬된 삼국지 위서 동이전은 일본열도에 말이 없다고 기록을 했다. 그런데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말이 공식적으로 일본열도에 도착하는 것을 기록한다. 오오진(應神) 15년인 404년에 백제왕이 아직기(阿直岐) 편에 두 마리의 순한 말(고사기는 암, 수 한 마리씩이었다고 구체적으로 밝힌다)을 보내왔는데, 아직기가 경전도 읽을 줄 알았으므로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오오진이 아직기에게 백제에 자신보다 더 학식이 뛰어난 인물이 있느냐고 묻자, 아직기는 왕인(王仁)이 있다고 대답하였다. 왕인은 405년에 백제에서 건너왔으며, 태자는 왕인으로부터 많은 경전을 배웠다. 아직기는 아직사(阿直史)의 시조가 되었으며, 왕인은 서수(書首, 文首)의 시조가 되었다. 고사기는, 백제왕이 대장장이와 의복을 만드는 재단공을 보냈으며, 또 술 담글 줄 아는 사람(仁番, 須須許理)도 보냈는데, 오오진(應神)이 그가 맞잇게 빚은 술을 즐기는 장면을 기록한다. 2

일본서기는, 오오진 7년인 396년에, 한반도에서 건너온 사람들을 시켜 저수지를 만든 다음 한인지(韓人池)라 불렀다고 기록을 하는데, 고사기를 보면 신라에서 온 사람들을 시켜 저수지를 만들고서 “백제지(百濟池)”라 불렀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 일본서기는 백제왕이 403년에 진모진이라는 재봉사를 보내왔는데 그녀가 바로 구메 재봉사(衣縫)의 시조라고 말 한다. 3

일본서기에는, 하다 씨족의 시조가 되는 궁월군(弓月君)이 403년(오오진 14년)에 120개 현의 사람들을 이끌고 “백제로부터” 야마도에 도착하였으며, 409년(오오진 20년)에는 야마도 아야(倭漢) 씨족의 시조가 되는 아지사주(阿知使主)가 17개 현의 사람들을 이끌고 왔다는 기록이 있다. 4 삼국사기 399년 조와 광개토대왕 비문(400년 조)의 기록들은, 바로 이 시기에 백제로부터 일본열도로 일련의 대규모 이주가 실제로 일어나는 과정을 추적해 볼 수 있게 하는 사료가 된다. 5

신찬성씨록은, 하다씨족(秦氏)들이 (오오진의 아들) 닌도쿠(仁德)왕 때에 여러 현에 분산되어 거주 하면서 양잠을 하여 비단을 조정에 바쳤고, 5세기 후반 유라쿠(雄略)왕 때에는 이 하다 씨족의 규모가 총 18,670명에 달해 92개의 베(部)를 이루었다고 말한다. 6

속일본기는, 야마도 왕국의 중심부인 다케치(高市, 타카이치) 지역이 아지사주가 인솔해 온 아야 씨족으로 넘쳐나 다른 씨족은 열에 한 두 명도 안되었다고 말한다. 7 신찬성씨록에는 아지사주가 오오진 왕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이마끼(今來) 군을 만들었는데, 후에 그 이름이 다케치 군으로 바뀌었으며, 이마끼 지역이 아야 씨족으로 너무 붐비게 되어, 이들을 여러 지방으로 분산 배치했다고 말한다. 하리마 풍토기에는 아야 씨족이 재배치되는 사례만이 아니라, 하다 씨족과 결혼관계를 맺는 것까지 기록이 되어 있다. 8 하리마 풍토기는 또, “오오진 때에 백제로부터 도래한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자기 나라에서 하던 식으로 (흙을 파, 掘城處) 성을 쌓아 올리고 살았기 때문에 키무레(城牟禮)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어떤 지명의 유래를 밝힌다. 9

한국 고어에서는 산을 “모” 또는 “뫼”라 했다. 따라서 “무레”는 산을 의미했을 것이다. 그런데, 백제 사람들은 아주 특이하게 성(城)을 키(己, 只)라고 불렀다. (이기문, 1972: 37-38 참조.) 그러므로 여기서 “키무레”는 “성-산”이라는 뜻으로, 백제 사람들이 (몽촌토성 모양) 흙으로 축조하는 “산성”을 말하는 것 같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유략쿠 7년(463)에 “백제에서” 야마도 지역으로 각종 기술자들이 또 한차례 대규모로 건너 왔는데, 그 중에는 안장을 만드는 사람, 도자기를 만드는 사람, 그림을 그리는 사람, 비단을 짜는 사람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새로이 도착한 기술자들은 오오진 때에 도래한 (야마도 아야 씨족의) 사람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이마끼 아야(今來漢, 新漢)라고 불렀으며, 기존의 야마도 아야(倭漢) 씨족이 관할토록 했다. 10 “이마끼”는 이제 방금 새로 건너왔다는 뜻이다.

백제 사람들의 이와 같은 대규모 이주는, 야마도 왕국의 역사에서 한국이 분명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경대 문화인류학 교수인 이시다(石田英一郞, 1974: 85)는 “사학자들에 의한 상세한 연구는, 야마도 조정에 의해 일본이 통일된 직후에 최대 규모의 이민 물결이 있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데, 만일 야마도 조정이 한국과 아무런 관련도 없이 세워졌다고 한다면, 이러한 대규모 이민의 유입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라고 말했다.

백제 왕실과 야마토 왕실간의 근친 관계

일본서기를 읽어보면, 백제 왕실과 야마도 왕실이 아주 가까운 친족 관계일 것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받게 된다. 예컨대, 야마도 조정에는 백제 왕족 가운데 누군가가 거의 항상 체류를 하고 있었다. 백제 아신왕(392-405년)의 태자인 전지는, 397년부터 405년까지, 오오진과 함께 야마도에 살았다. 그는 405년에 부왕이 서거하자 백제로 돌아와, 그 뒤를 이어 전지왕(405-20년)이 되었다. 전지왕은 자신의 누이동생 신제도를 야마도에 보내, 오오진을 모시게 했다는 기록도 나온다. 11

오오진의 뒤를 이은 닌토쿠왕 때, 백제 왕자 주(酒)가 야마도 조정에 와서 매를 길들이고 닌토쿠와 함께 매사냥을 다니기도 했다 개로왕(蓋鹵王, 455-75)때에는 백제 조정에서 유랴쿠의 왕비감으로 모니(慕尼)부인의 딸을 보냈는데, 그녀가 부정한 짓을 해서 그만 화형을 당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개로왕은 그의 동생 곤지(昆支)를 야마도 조정에 보내 유략쿠를 돕도록 하였다. 12

일본서기에 의하면, 개로왕은 자신의 아기를 임신하고 있던 여인을 곤지에게 주어 보내면서, 그녀가 도중에 해산을 하면 아기를 즉시 돌려보내라고 말했다. 그 여인은 정말로 큐슈 부근 섬에서 아기를 낳았고, 곤지는 즉시 사마(한국어로 섬 혹은 시엄)라는 이름의 그 아기를 배에 태워 개로왕에게 보냈다. 일본서기는 그 해가 461년이라고 기록을 했다. 그 아기가 후에 무녕왕(武寧王, 501-23)이 되었으며, 무녕왕 능은 1971년에 공주에서 발견되었다. 발굴된 지석에는 무녕왕의 이름이 사마 이었으며, 523년에 62세의 나이로 죽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무녕왕의 관은 남부 일본에서만 자라는 금송(金松)으로 만들었다 금송이 자라면 보통 지름이 1.2미터, 높이가 36미터에 달한다.

백제의 삼근왕(477-79)이 479년에 죽자, 곤지의 둘째 아들이 백제로 돌아와 동성왕(479-501)이 되었다. 일본서기는, 유랴쿠가 백제로 떠나는 곤지의 아들의 얼굴과 머리를 쓰다듬어 주면서 작별을 아쉬워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13 백제 무녕왕은 505년에 사아(斯我)라는 왕자를 보내 야마도 조정에서 일을 돕도록 했다. 597년 에는 위덕왕이 아좌(阿佐)태자를 보냈다. 일본서기는, 의자왕의 아들 풍장(豊章)이 631년에 건너왔다고 기록했다. 14

신찬성씨록은 야마도 왕국의 1,182개 지배씨족의 조상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 성씨록의 서문에는 마히또(眞人)가 황족 중에서 으뜸가는 씨족이기 때문에, 수도 지역의 마히또 씨족들을 제1권 황별(皇別) 첫머리에 수록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그 기록 내용을 검토해 보면, 모든 마히또 씨족을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간주 할 수 있다. 15

성씨록 제1권 맨 첫머리에 실려 있는 4개의 마히또 황족들은 호무다(오오진) 왕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5번째는 케이타이(繼體) 왕의 후손, 6번에서 12번까지는 비다쓰(敏達) 왕의 후손, 13번에서 20번까지의 마히또 씨족들은 백제친왕(百濟親王)의 후손이라고 기록이 되어 있다. 그런데 12번째 씨족, 즉 백제 친왕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는 씨족들 바로 앞에 기록되어 있는 마히또 황족은, 비다쓰 왕의 후손인 백제왕(敏達孫百濟王)의 자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환언하면, (6번부터 12번까지의) “비다쓰 왕의 후손”은 “백제왕의 자손”과 동일하다는 말이 된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비다쓰 왕은 케이타이 왕을 계승한 킨메이(欽明) 왕의 둘째 아들이었으며, 케이타이 왕은 또 호무다의 5세손이 된다. 결국 첫 번째에서 20번째까지의 모든 마히또 씨족들이 “백제왕”의 자손들이었다고 신찬성씨록이 기록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호무다 계통의 일본 황족이 모두 백제 왕족에서 유래했음을 의미한다. 16

660년, 백제의 수도가 나당 연합군에게 함락된 후, 야마도에서 귀국한 왕자 풍장은 복신과 함께 주유성에서 항전을 계속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당시 사이메이(655-61년) 여왕과 태자 덴지(662-71년)는, 큐슈까지 나와서, 백제 구원작전을 진두지휘 했다. 663년, 야마도 조정은 구원병 만 여명을 보냈는데, 이들은 백촌강(白村江) 전투에서 궤멸되었고, 주유성(州柔城, 周留城)은 당군에게 함락되었다. 이 대목에서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온다: “그러자 나라 사람들은 서로들 다음과 같이 말을 주고받았다: 주유가 함락 됐구나. 이젠 어찌할 도리가 없구나. 오늘로서 백제라는 이름이 사라지고 말았구나. 이제 우리 조상들의 무덤이 있는 그 곳을, 어찌 다시 찾아 가 볼 수 있을 것인가?”17

國文版 부록: 신찬성씨록의 도래인 분류방식
 
고사기, 일본서기, 속일본기의 기록들은 모두 왕인이 백제에서 건너 왔다는 것을 밝히고 있는데, 유독 신찬성씨록 만은 왕인이 중국에서 왔다고 말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신찬성씨록은, 하다 씨족과 아야 씨족도 중국(漢)에서 도래한 씨족으로 분류를 해서 현대 일본 사학자들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었다. 왜 그랬을까? 이제 그 이유를 캐 본다
 
신찬성씨록이 편찬되고 있었던 8세기 말과 9세기 초 라는 시대는, 야마도 왕국 전체가 아직도 중국의 문물을 동경하며 열심히 견당사를 파견하고 있던 시기였다. 한반도의 백제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중국의 모든 것이 부럽고, 중국과의 역사적 연관성이 그저 좋아 보이기만 할 때였다.

신찬성씨록에서 제번(諸蕃)이라고 부르는 “공식적”인 도래인 씨족들의 기록은, 중국의 한(漢) 나라에서 건너왔다는 씨족부터 시작을 해서, 백제, 고구려, 신라, 가야의 순서로 기록을 했다.   한 나라에서 건너왔다는 씨족들의 출자(出自)는 진 시황제(秦始皇帝), 한 고황제(漢高皇帝), 후한 광무제(光武帝), 령제(靈帝), 헌제(憲帝), 위 무제(魏武帝), 등 엄청난 존재들이다.
 
그런데 신찬성씨록에 기록된 (수도와 주변 5개 구니의) 1,182개의 지배 씨족들의 조상들을 검토 해 보면, (天孫降臨 원칙에 따라) 문서상으로 완전하게 “토착화”시켜놓은 백제계 지배 씨족들을 제외하고서도, 너무나 백제를 주축으로 하는 한국계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신찬성씨록의 편찬자들은, 인위적으로 왜곡을 해서라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아지사주, 궁월군, 왕인 같이 분명하게 백제에서 건너온 사람들을 중국(한 나라)에서 온 것으로 억지 재분류 했던 것 같다. 

신찬성씨록에 실린 1,182개 씨족 중, 335개가 고오베쓰(皇別), 403개가 신베쓰(神別), 328개가 쇼한(諸蕃), 116개가 기타(未定雜姓) 씨족으로 분류되어 있다. 403개의 신별은, 373개의 천신(天神) 씨족과 30개의 땅의 신(地祇) 씨족으로 나뉘어 있다.
 
아주 내놓고 도래 씨족이라고 분류를 한 328개의 제번 씨족의 조상은, 104개가 백제, 42개가 고구려, 9개가 신라, 10개가 가야, 163개가 중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중국에서 도래했다는 씨족 중에는, 왕인, 궁월군, 아지사주 등의 후손을 포함하는 54개의 백제 계통의 씨족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을 바로 잡으면, 제번 중, 백제에서 도래한 씨족이 158개로 증가되고, 중국에서 도래한 씨족은 109개로 감소된다. 116개의 기타 미정잡성 씨족 중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 가야 출신이 (각각 18, 7, 8, 1) 모두 해서 34개가 포함되어있다.

우리가, 야마도 왕국 초창기에 도래한 백제 왕족의 후손을 고오베쓰(皇別)로 간주하고, 그들과 함께 도래한 비(非)왕족 지배층의 후손을 (하늘에서 나려 왔다는) 천신 씨족의 신베쓰(神別)로 본다면, 신찬성씨록에 실린 1,182개의 지배씨족 중, 한국 도래인과 직접 관계가 없는 씨족은, (토착 세력인) 땅의 신(地祇) 씨족 30개, 중국 출자 제번씨족 109개, 비(非) 한국계 미정잡성씨 82개 등, 모두 합해 전체의 20%도 안 되는 221개 씨족에 불과한 것이다.

신찬성씨록 자체의 기록에 의하면, 5세기 초에 궁월군이 이끌고 건너온 120현 하다 씨족의 수가, 5세기 후반 하쯔세 (유랴쿠, 雄略) 왕 때에 와서는 18,670명에 달했다고 한다. 속일본기는 다케치 고을이, 일찍이 아지 사주가 데리고 온 17현 사람들로 넘쳐 나서, 다른 씨족은 열사람 중에 한 두 명도 안 되었다고 기록을 했다. 18 아지사주가 데리고 온 사람들도 결국은, 셋츠, 아후미, 하리마 등 각 지역으로 분산 배치 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이 배치 된 마을의 촌장은 거의 모두 아야 씨족 사람들이 담당했다. 신찬성씨록의 편찬자들은, 무엇보다도, 이렇게 규모가 큰 하다 씨족과 아야 씨족의 출자를 백제로 그냥 놓아둘 수가 없었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2-3 (2005. 4. 23.)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야마도”는 기나이(畿內)의 5개 구니(國)중 하나로, 오늘날의 나라현(奈良縣)을 의미한다. 옛날에는 그 지역을 倭 혹은 大倭라 쓰고 (대) 야마도라 읽었는데, 737년부터 大和로 고쳐 쓰기 시작했다. 읽기는 전이나 마찬 가지로 야마도라 읽는다. 야마도 평야는 남북으로 30킬로, 동서로 15킬로 정도가 되는 지역이다

2. 亦百濟國主照古王 以牡馬壹疋牝馬壹疋 付阿知吉師以貢上 此阿知吉師者 阿直史等之祖 .  . 又科賜百濟國若有賢人者貢上 故受命以貢上人 名和邇吉師 卽論語十卷 千字文一卷 . . . 此和邇吉師者文首等祖 . . . 又貢 上手人韓鍛名卓素 亦吳服西素二人也 又. . . 及知釀酒人 名仁番亦名須須許理等參渡來也 (K: 248)

3. 應神 十五年 百濟王遣阿直伎 貢良馬二匹. . . 阿直伎亦能讀經典 卽太子. . 師焉 於是天皇問阿直伎曰 如勝汝博士亦有耶 對曰 有王仁者 是秀也 時遣. . 荒田別 .  .於百濟 仍徵王仁也 其阿直伎者 阿直伎史之始祖也 . . 十六年 . . 王仁來之 卽太子. . . 師之 習諸典籍於王仁 莫不通達 所謂王仁者 是書首等之始祖 (NI: 371-373)

 亦新羅人參渡來 是以. . .命引率 爲役之堤池而 作百濟池 (K:  248)
應神 七年 高麗人百濟人任那人新羅人 並來朝 時命. . . 領諸韓人等作池 因以 名池號韓人池 (NI: 367)
應神 十四年 百濟王貢縫衣工女 曰眞毛津 是今來目衣縫之始祖也 (NI: 371)

4. 亦百濟國主照古王 . . . 亦貢 . . . 又貢 . . . 又秦造之祖 漢直之祖 . . 等參渡來也 (K: 248)
應神 十四年 弓月君自百濟來歸 . . .領己國之人夫百卄縣 . . . 然因新羅人之拒 皆留加羅國 十六年 . . 乃率弓月之人夫 與襲津彦共來焉. . 卄年. . 倭漢直祖阿知使主. . .並率己之黨類十七縣而來歸焉 (NI: 371- 75)

도중에 (가라 지역에서) 신라인들의 방해로, 궁월군이 인솔해 온 사람들의 실제 야마도 도착 연도는 405년이 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399년에 아신왕이 고구려를 공격하려고 크게 병마를 징발하니, 많은 백성들이 괴로워 신라쪽으로 달아났기 때문에 호구가 크게 줄어들었다 한다. 아마 이 달아난 사람들이 몇 년 후에 궁월군과 아지사주를 따라 야마도로 이주한 백제 사람들인 것 같다. 광개토왕비는 400년에 왜적의 배후를 급히 추격하여 임나가라의 종발성에 이르자 성은 즉시 투항했고, 이어 신라성을 공격하자 왜구가 크게 무너졌는데, 성안의 대부분 사람들이 왜인을 따라가기를 거부했다고 기록을 하고 있다. 시기적으로 보아 삼국사기의 기록과 일관성이 있는 것이다

阿智使主之黨類 自百濟國來歸也 日本三代實錄 (日本六國史 韓國關係 記事原文: 216-217).

일본삼대실록의 세이와(淸和) 죠오간 4년(862년) 조는, 사카우에 라는 씨족이 아지사주의 후예인데, 이 아지사주의 무리들은 (중국으로부터가 아니라) “백제”로부터 건너왔다고 분명하게 기록을 하고 있다. 일본삼대실록은 우다(887-897년) 천황의 명에 의해 편찬된 세이와-요오제이 -고오코오 3대 29년 간(858-887년)의 역사 기록이다.

삼국사기에 인용된 기록에 의하면, 기원전 18년에 온조가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했었는데, 그로부터 389년이 지난 371년에 근초고왕이 도읍을 한성(漢城)으로 옮겼다 한다. 위례성이나 한성이나 모두 한산(漢山)과 한수(漢水)의 인근 지역이다. 한성 백제는, 그로부터 105년이 지난 후 (475년에 장수왕이 왕도 한성을 포위하고 개로왕을 잡아 죽였을 때), 문주왕이 웅천으로 천도를 하면서 끝이 났다 5세기 초, “한성”백제에서 건너온 아지사주와 그 백성들을 “漢人(아야 사람)”들 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상할 것도 없는 것이다. 하지만 고사기와 일본서기가 어째서 “한나라, 물 이름, 은하수” 등을 뜻하는 한(漢)이라는 한자를 써 놓고 “아야”라고 읽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이들 하다(秦)와 야마도 아야(漢) 두 씨족은, 백제의 부(部)제도를 본 따서, 야마도 조정의 재정출납 등 온갖 행정 기능을 맡아보게 되었고, 그 덕으로 야마도 조정은 국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었다.

5. 阿莘王 八年 王欲侵高句麗 大徵兵馬 民苦於役 多奔新羅 戶口衰減 (S2: 45-46)

廣開土王碑文 十年 敎遣步騎五萬 往救新羅 . . . 自倭背急追至任那加羅從拔城 .  .倭寇大潰 城內十九盡拒隨倭
城內十九盡拒隨倭

6. 大泊瀨稚武天皇御世 . . . 秦民九十二部一萬八千六百七十人 (SS: 307)

仁德 御世 以百二十七縣秦氏 分置諸郡 卽使養蠶織絹貢之 (SS: 279)

7. 阿智使主 . . 率十七縣人夫歸化 詔高市郡檜前村而居焉 凡高市郡內者 檜前忌寸及十七縣人夫 滿地而居 他姓者十而一二焉 (SN4: 380)

8. 阿智王 譽田天皇御世.七姓漢人等歸化 . . .仍賜大和國檜隈郡鄕居之焉 . . . 飛鳥村主. . 錦部村主 . . .鞍作村主 播磨村主 漢人村主 今來村主 . . 等是其後也 爾時阿智王奏 建今來郡 後改號高市郡 而人衆巨多 居地隘狹 更分置諸國 攝津. . .近江播磨. . 等 漢人村主是也 (SS: 358)

신찬성씨록은, 아스까 촌주(村主), 누가다 촌주, 구라쓰쿠리 촌주, 하리마 촌주, 아야 촌주, 이마끼 촌주 등이 모두 아야 씨족의 후예들이라 한다.

少宅里 本名漢部里 所以號漢部者 漢人居之此村 故以爲名所以後改曰少宅者. . 祖父 娶少宅秦公之女 (F: 304)

9. 播磨國風土記 神前郡 多駝里 ... 品太天皇 巡行之時 ... 云墓 又云城牟禮山 一云 掘城處者 品太天皇御俗 參度來百濟人等 隨有俗 造城居之 (F: 330)

도래(度來, 渡來)라는 표현은 고사기(712년), 일본서기(720년), 풍토기(712-20년) 등에 기록된 특이한 표현이다

10. 雄略 七年 西漢才伎歡因知利. . . 取道於百濟 . . 集聚百濟所貢今來才伎 . . 天皇. . . 命東漢直 以新漢陶部. . 鞍部. . 畵部. . 錦部. . 譯語. . .等 遷居于. . . 或本云 吉備臣. . . 還自百濟 獻漢手人部 衣縫部 宏人部 (NI:  475-477)

[7대왕] 하쯔세 치세 때, 카후치 아야(西漢) 씨족인 콴인치리의 제안에 따라, 백제한테 기술자들을 보내달라고 청했었다. 당시 백제 조정이 새로 보내준 이마끼 기술자(今來才伎)들을 이마끼 아야(新漢) 혹은 아야 기술자(漢手人)라 불렀다. 이들을 처음에는 야마도의 어느 한 지역에 거주하게 했다가, 후에 야마도 아야(東漢) 씨족의 아타히 쓰카 에게 명해, 모모하라와 마카미하라 마을에 옮겨 살게 했다. 모모하라와 마카미하라는 모두 오늘날의 나라현 다케치(다카이치)군 아스카 촌에 위치했다.

11. 應神 八年 百濟記云 . . . 阿花王 . . . 遣王子直支 (NI: 367)
腆支王 或云直支. . 阿莘在位第三年立爲太子 六年出質於倭國 十四年王薨. . 太子還國. . 國人. . 迎腆支卽位 (S2: 46)
應神 十六年 是歲 百濟阿花王薨 天皇召直支王謂之曰 汝返於國以嗣位 (NI: 373)
應神 三十九年 百濟直支王 遣其妹新齊都媛以令仕 爰. . . 率七婦女 而來歸焉 (NI: 379)

12. 仁德 卌一年 百濟王之族. . 爰酒君來之. . 卌三年 . 捕異鳥. . 百濟俗號此鳥曰俱知 是今時鷹也 乃授酒君令養馴 未幾時而得馴. . 居腕上獻于天皇… 幸. . 遊獵. . 乃放鷹令捕 (NI: 409)
雄略 二年 百濟池津媛 違天皇將幸 婬於. . . 天皇大怒 . . . 以火燒死 百濟新撰云 . . . 蓋鹵王立 . . . 天皇遣 . . . 來索女郞 百濟莊飾慕尼夫人女 貢進於天皇 (NI: 463)

13. 雄略 五年 百濟 . . . 蓋鹵王. . . 告其弟. . . 昆支. .. 曰 汝宜往日本以事天皇 (NI: 471)

 雄略卄三年 百濟文斤王薨 天王 以昆支王五子中 第二末多王 . . . 勅喚內裏 親撫頭面 誠勅慇懃 使王其國 . . . 是爲東城王 (NI: 497-499)

14. 武烈七年 百濟王遣斯我君 . . . 百濟國主之骨族 (NII: 17)

推古五年 百濟王遣王子阿佐 (NII: 175)

舒明三年 百濟王義慈入王子豐章 (NII: 229)

15. 枝別之宗 特立之祖 . . . 眞人是皇別之上氏也 幷集京畿以爲一卷 附皇別首 (SS: 146-147) 일본서기는 덴무왕을 “아마 노 누나하라 오끼 노 마히또”라고 부른다

일본 고대사에서는 소위 텐표(天平) 문화시대라고 부르는 기간(749-57년)이 있다. 당시 주요 씨족들의 계보가 심각한 혼란 속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소위 천평승보(天平勝寶) 말기에 와서, 주요 씨족들의 시조(出自) 기록을 정리하기 위해 저명한 학자들이 소집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작업이 절반도 끝나기 전에, 조정이 어떤 곤란에 처하게 되어, 이들 학자들은 해산되었다. 그 후 799년, 간무의 명령을 받고, 그의 아들 만다(萬多親王, 783-830년)가 주도하는 위원회에서 성씨록의 편찬 작업이 재개되어, 사가(嵯峨, 809-23년) 재위 기간 중인 815년에 드디어 완성이 된 것이다. 
 이 성씨록에는, 경기(京畿) 즉 당시의 수도(京)와 야마도, 셋츠, 카하치, 야마시로, 이즈미 등 기나이(畿內) 지역에 거주하는 1,182개의 주요 씨족의 조상(出自)들이 수록되어 있다.  제1부에는 천황, 황자의 후손이라는 335개 황족들(皇別)의 조상이 기록되어 있다. 제2부에는 천신과 지신의 후예라는 신족들(神別)의 조상이, 그리고 제3부에는 중국과 한국 사람의 조상을 가졌다는 번족들(諸藩)의 조상이 기록되어 있다.

16. 左京皇別 息長眞人 出自譽田天皇 諡應神 . .  路眞人 出自諡敏達皇子…王也 守山眞人 路眞人同祖…親王之後也 甘南 備眞人…路眞人同祖…大原眞人出自諡敏達孫百濟王也 島根眞人 大原眞人同祖 百濟親王之後也 . . . 淸原眞人 桑田眞人同祖 百濟親王之後也 (SS: 149-152)

일본서기에 의하면, 센쿠와 왕은 케이타이 왕의 둘째 아들, 요오메이 왕은 킨메이 왕의 넷째 아들, 죠메이 왕은 비다쓰 왕의 손자, 덴지 왕은 죠메이 왕의 맏아들, 덴무 왕은 덴지 왕의 동생이다. 그런데 21번째부터 44번째까지의 나머지 24개 마히또 황족은, 오오진, 케이타이, 센쿠와, 비다쓰, 요오메이, 죠메이, 덴지, 덴무 왕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자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신찬성씨록 첫머리에 실려 있는 전체 44개 황족들이 모두 마히또(眞人)인 동시에, 백제왕의 자손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 오오진-케이타이 계통의 핵심적인 일본 황족 전체가 백제 왕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17. 天智 二年九月 百濟州柔城 始降於唐 是時 國人相謂之曰 州柔降矣 . . 百濟之名 絶于今日 丘墓之所 豈能復往 (NII:  361)
이 대목에서 일본서기는, 얼핏 보면 마치 주유성 함락 직후에 백제 사람들이 자신들끼리 이런 말을 주고받은 것같이 기록을 해 놓았다. 하지만, 아무리 읽어 보아도 그 내용은 야마도 사람들이 후에 주유성이 함락되었다는 비보를 전해 듣고 했을 말이다.

18. 신찬성씨록 말대로라면, 야마도 왕국의 핵심 본거지가 중국 사람들로 넘쳐 났었다는 얘기가 된다

(업코리아 2005-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