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 '고려인 자치주' 명칭 우려는 기우

연해주고려인자치주 수립 계획을 밝힌 뒤 일부에서 자치주라는 말을 쓰는 것을 신중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3만 명 이상 한국인을 3~5년에 걸쳐 연해주에 유치하는 개발사업을 두고 ‘자치’라고 말하는 데는 근거를 갖고 있다.

러시아에는 130여 종족이 모여 살기 때문에 자치라는 말을 우리가 우려하는 만큼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극동 러시아만 해도 사하자치공화국, 유대인자치주, 추코트자치주, 코략자치구 등과 같이 ‘자치’ 이름이 붙은 민족공동체 행정단위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자치주나 자치구 등에는 한 종류의 민족만 사는 것이 아니라 여러 민족이 어울려 살되, 주된 민족의 문화와 언어, 전통, 종교 등을 존중하는 특별구역의 성격이 있는 것이다.

소비에트연방이 와해됐고 12개 공화국이 분리독립한 뒤 최근 체첸의 독립추진 무장투쟁 운동으로 러시아 연방 당국이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들은 연해주의 한국인 자치공동체 수립과는 지정학적 성격과 역사와 내용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러시아 연방정부는 옐친 대통령 때 고려인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킨 스탈린의 정책과오를 인정하면서, 1997년 8월1일자로 연해주 고려인을 위한 ‘영토 없는 고려인문화자치주’를 선포한 바 있다.

이것은 연해주의 고려인들이 모든 문화행사와 고유의상, 언론, 언어, 학교설립, 종교활동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권리를 확보해준 것이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연방 당국은 2004년 10월 러시아에 거주하는 독일인을 위해 볼가강 유역에 자치공화국 건설을 허가했다.

소련이 와해되고 사회주의 공급제도가 시장경제로 바뀌면서 이 지역에 상주하던 사람들이 먹고 살기 위해 대도시로 빠져나가 연해주는 텅 빈 형편이다. 러시아 연방정부나 연해주 지방정부는 땅도 넓고 지하자원도 많은 연해주에 사람들이 많이 들어와, 농업ㆍ광업자원 등을 개발하고 해양수산업, 관광레저산업 등을 활성화하기를 바라고 있는 실정이다.

고구려_러시아 연해주농업개발협력지구 수립사업은 한국인의 손길을 통해 공동화한 연해주 땅을 활기차고 살기좋은 지역으로 만드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러시아 연해주 내에 고려인 자치구역을 수립해 이 지역을 크게 발전시키면서 한_러 간 우호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접경 지대인 북한과의 관계에까지도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

<유진각 연해주농업개발협력지구 수립추진협의회 상임대표>

(한국일보 2005-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