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물질 `확산' 여부 논란에 NYT도 합류

뉴욕 타임스가 31일(현지시간) 북한이 리비아에 핵물질을 판매했다던 자신들의 보도를 점검하는 기사를 통해 판매원이  북한일 가능성이 "90% 이상"이라던 당초의 단정적인 논조를 다소 완화함으로써 주목된다.

타임스는 지난달 2일엔 미 정부 관계자 말 중심으로 보도했던 것과  달리  이날은 민간 전문가들의 비판적이거나 결론 유보적인 논평을 많이 전하면서 관련 증거들이 북한을 지목(incriminating)하고 있지만 "결정적인" 증거들이 아니라 "정황적인" 증거들이라고 수준을 낮췄다.

근 2개월만에 본래 기사 논지를 조심스럽게 가필한 이 보도는 북한이  리비아에 6불화 우라늄을 판매했다는 백악관과, 백악관이 정보를 오도했다는 워싱턴 포스트간 논란이 인 가운데 나왔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러나 이 논란의 결말은 미국의 정보 신뢰도 문제와 직결될 뿐  아니라,  북핵 문제에 대한 6자회담 참여국의 정책 방향과 직결된 것이기 때문에 백악관과  언론간 싸움이라는 흥미 이상의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과 미국 일각에선 북한의 6불화 우라늄 리비아 판매를 단정, 미국이 암묵적으로 설정한 금지선을 북한이 넘어섰다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날 타임스는 "이번주 정부 관계자들 및 외국 외교관들과 인터뷰에서  들었다"며 리비아의 `재정 원장' 기록상 북한을 지급처로 한 큰 금액이 2001년 리비아에 도착한 6불화 우라늄 대가인 것으로 `추정(presumably)'되지만 결정적인 증거가  아니라 정황적인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앞서 국내 일부 언론도 최근 한국 정부 고위당국자들의 말을 인용해 "양국간 6불화 우라늄 대금 결제가 이뤄졌다는 극비정보가 지난달초 미 정부로부터  한국 정부에 전달됐다"고 보도했었다.

타임스는 이날 판매원이 "북한일 가능성과 북한이라는 사실 사이엔  큰  차이가 있다"는 등의 전문가들의 말을 전하면서 단정을 피함으로써 포스트 기사를 의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포스트가 지난달 3일 "북한이 천연 우라늄을 6불화  우라늄으로  가공할 능력이 있는지는 입증되지 않았다"고 보도한 것과 달리, 이날 타임스는 "북한이 4불화 우라늄을 일상적으로 만드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6불화 우라늄으로 만드는 것은 큰 일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고 전했다.

타임스는 "북한이 판매원"이라는 "90% 이상의" 단정을 다소  수정했지만,  여러 정황은 북한을 가리키고 있다는 논지를 견지한 반면 포스트는 최근 관련 보도들에서 "파키스탄이 판매자이고, 북한은 리비아로 갈 지 몰랐을 수 있으며, 북한과  파키스탄간 6불화 우라늄 거래는 이미 알려진 국가간 정상 거래로 간주되고 있다"고  전함으로써 두 매체간 시각차를 보여주고 있다.

6불화 우라늄 논란은 지난달 2일 타임스와 포스트가 유사한 내용을 전한 게  발단이 됐다.

이튿날 포스트는 "판매원이 파키스탄일 수도 있다"고 수정했고 이어 지난  20일 정부 관계자 2명을 인용, "북한이 아니라 파키스탄"이라며 부시 행정부의 `오도' 의도를 폭로했다.

5일 뒤 백악관은 스콧 매클렐런 대변인의 포스트 게재 반박문을 통해 포스트 보도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며 중요한 점은 파키스탄의 중개 역할이 아니라 북한의 핵물질이 북한 밖에서 발견된 점(확산)"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백악관측 주장이 포스트 보도 논지에 초점을 맞추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틀 뒤 포스트 옴부즈먼란에 백악관 반론은 보도 내용에 대한  직접적인 반박이 될 수 없다는 취지의 글이 실렸다.

(연합뉴스 / 윤동영 특파원 200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