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원통치조직의 창시: 모용선비의 연(燕) 북위(北魏,) 출현의 예고

Commencing the Dual System: the Yan Kingdom of Mu-rong Xianbei

모용외(283-333)와 그 후계자들은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5호17국 시대(304~439)에 관료적 행정과 부족적 군사를 분리한 2원적(二元的) 통치조직을 기반으로 국가를 세웠다. 요서 초원지대는 부족 전통에 따라 군사적으로 조직을 하고, 요하 유역에 거주하는 농민과 도시민들은 중국식 문민 관료제도로 다스리는 2원적 체제를 운용했다. 후대의 모든 이민족 정복왕조들은 모용선비(慕容鮮卑)족이 창안한 2원 제도를 본받아 거대한 제국 전체를 장악하고 지키는 통치체제로 완성시켰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편집자 주

Commencing the Dual System: the Yan Kingdom of Mu-rong Xianbei

PORTENDING THE ADVENT OF NORTHERN WEI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 Xianbei Tomb Paintings (of Former Yan) excavated in 1982 at the Zhao-yang 袁台子 朝陽 area, across the Daling River, Liao-xi

According to Janhunen (1996: 224), there is a clear continuity from the Hong-shan culture (c. 4,000-3,000 BC) to the later cultural stages of Southern Manchuria, notably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ca. 2,000-1,500 BC) that predates the Shang dynasty. The Old Yan kingdom (1027 or 1025?-222 BC) does not come into clear view in Chinese dynastic history until the Warring States period (403-221 BC). Ethnically,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the Old Yan in the area of Liao-xi (around the Luan-Daling River basins) and today’s Hebei province would originally have contained very little, if any, Sinitic elements. The ethnic foundation of Yan may have incorporated pre-proto-Xianbei elements in its ethnic composition that may well be connected with the Hong-shan culture.1

The Xianbei people had established a short-lived empire during 130-180 which temporarily replaced the Xiong-nu rule in Mongolia, and then created the fourth-century Yan kingdoms in the aftermath of the demise of the Han Chinese empires, culminating in the formation of the fifth-century Northern Wei dynasty.

The fall of the Later Han dynasty started with the Yellow Turban rebellion of 184. After the death of Emperor Ling in 188, the Han ruler was the puppet of regional warlords. Liao-dong was occupied by the Gong-sun warlords from 190 until 238, who had established the Dai-fang commandery in the area south of Le-lang during 196-220. The Gong-sun ruler who proclaimed the King of Yan was killed by the (Cao Cao’s) Wei expeditionary force in 239.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220-265), small Xianbei tribes struck their own bargains with Wei, and laid claim to various frontier districts. The Wei dynasty maintained a policy of indirect rule over tribal peoples settled inside its borders, while providing generous subsidies and access to trade for those nomads living beyond its borders. The short-lived Western Jin dynasty (265-316) continued the Wei’s policies.

   
▲ Xianbei Tomb Painting excavated at the Zhao-yang area

In 285, Murong Hui, the chieftain of a Xianbei tribe, invaded Puyeo and also launched attacks on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Liao River basin that had been occupied by the Han Chinese after the Wu-di’s conquest of Old Chosun in 108 BC. When China was united, the Liao River basin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empire, but in times of anarchy it was always the first Chinese provincial area to break away.2 Rulers in mainland China, after all, gave the northeastern frontier low priority and its inhabitants considerable autonomy.

Full-scale civil war raged in mainland China during 291-305. The Wei/Jin policy of keeping the Shan-yu as a hostage at court had produced a new type of sinified Xiong-nu leader able to overwhelm the Western Jin dynasty by capturing the Jin emperor at Luo-yang in 311.3 A member of the Jin imperial family fled south and, sheltered by the Yang-zi River, founded the Eastern Jin dynasty in 317 with its capital at Jian-kang (modern Nan-jing). Until 589, Nan-jing was to assume the role of Chang’an and Luo-yang, as Constantinople was to replace Rome, ruined by the Germanic barbarians in the fifth century.

Ledyard (1983: 331) notes: “The year 317 marks not only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and political divisions in Chinese history, but also one in which a major part –better, the major part-- of China’s land is taken over by non-Chinese aliens.”

The first Xiong-nu Zhao dynasty (304-329) in North China created a Chinese-style state, which was unpopular among its tribal supporters from the Mongolian steppes and bred the seeds for internal revolt. The second Xiong-nu Zhao dynasty (319-349) was, on the other hand, unable to provide a competent government for its Chinese subjects. The son of the last Zhao emperor was such a savage monster as to roast a concubine to be served up at table. 4

   
▲ Former Yan Art Objects from the Zhaoyang-Beipiao area: (top) gilt-bronze saddle plates; (second) gold hat ornaments with disk pendants; (third) gilt-bronze horse ornament; and (bottom) bronze deer-shaped object Watt, et al. (2004: 124, 130)

The Manchurian Xianbei, by that time, were no longer purely nomadic. They had occupied the Liao River basin, ruling farmers and city people. They had imposed a dual system of tribally based military organizations on the Liao-xi steppe and a Chinese-style civil bureaucracy on the farmers and city dwellers of Liao River basin. Civil officials never acted as army commanders. According to Barfield (1989: 97-99, 106), the Murong Xianbei founded a state with this type of dual military-bureaucratic organization for the first time in East Asia during the era of Five Barbarians and Sixteen States (304-439).

According to Fairbank (1992: 111-2), “this pattern of dual Sino-nomadic government was visible from the fourth century AD in southern Manchuria. It would reach its peak in the complete control that followed the Mongol and Manchu conquerors.” Regardless of the Confucian myth of government by virtue, the origin of dynasties was militarist and imperial autocracy could function only as long as the rulers commanded enough military might to destroy rebels. Once a dynasty was established, however, their bureaucracies had to be civilian. Many Confucian-trained scholars had indeed specialized in military matters and some became surprisingly able generals. But the martial art was the specialty of nomadic invaders. It was only natural for the innovative Manchurian nomads to take over part of the Chinese domain and rule it, taking advantage of both their militaristic specialty and the efficiency of Chinese-style bureaucracy.

The transformation of the Murong Xianbei from a tribal group to a dual state was the work of Murong Hui (r.283-333) and his successors. Hui became a tribal leader at the age of fifteen but had the opportunity to receive a Chinese education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bureaucracy. Murong Huang (r.337-352), Hui’s successor, proclaimed himself King of Former Yan, becoming a ruler of both nomads and farmers.5 Yan was the name of the old northeastern kingdom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Murong Xianbei extended into northern Hebei Province including present-day Beijing. The Former Yan (337-370) occupied Luo-yang in 364 and brought eastern China north of the Yang-zi briefly under its rule, portending a full-fledged Xianbei empire, the Northern Wei (386-534), to follow.

   
▲ Tomb Paintings of Farming unearthed at the (top) Zhao-yang area; (middle) Jiayu-guan 酒泉嘉峪關 area, Gan-su; and (bottom) 高台酪駝城 area, Gan-su.

The exhibition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eld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October 12, 2004 – January 23, 2005) includes a group of bronze and gilt-bronze objects, all from the area of present-day Zhao-yang and Bei-piao in western Liao-ning Province that can be identified as specific to the Murong Xianbei. Watt, et al. (2004: XIX) states that: “the typical design on Murong Xianbei artifacts would later be seen in the arts of the Northern Wei in China and the Silla kingdom in Korea.”

The openwork pattern on a pair of saddle plates excavated at Zhao-yang (composed of hexagons enclosing animals and birds) is believed to be unique to the Murong Xianbei and would later be transmitted to the Northern Wei. Watt, et al. (2004: 125) contends that, “at about the same time, the pattern was adopted by Koreans of the Silla kingdom, in the southeast quarter of the peninsula.” The pattern was indeed adopted not only by the Silla, but also by the Kaya, and by the Yamato people with some time lag. The Koreans are very familiar with these sorts of patterns and designs, and are rather shocked by their excavation at the Xianbei sites.

In 370, the Xianbei Yan was conquered by the Former Qin dynasty (351-394) of Fu Zhien, likely to have been a Turko-Mongol ruler, although a Tangut (i.e., Tibetan) origin has often been ascribed to him. Fu Zhien, as a new master of the whole of north China, mounted against the Eastern Jin (317-420) in the south a massive campaign which failed at the Battle of the Fei River in 383, a disaster from which the Former Qin dynasty was never to recover.

The Xianbei tribes known as the Tuoba began to penetrate into Bing-zhou from their base in Sheng-le. In 398, Tuoba Gui, the founder of the Northern Wei dynasty, crossed the Great Wall into northern Shan-xi and established his capital at Ping-cheng (present-day Datong).

BIBLIOGRAPHY


[각주]

1 See also Guo (1995b: 148-9, 179).

2 Barfield (1989: 105)

3 Barfield (1989: 99)

4 Grousset (1970: 58)

5 See Barfield (1989: 109-111) and Gerhardt Schreiber, “The history of former Yen dynasty,” Monumenta Serica, Vol. 14 (1949-55: 374-480) and Vol.15 (1956: 1-141).

晉書 卷一百八 載記第八 慕容廆 … 太康十年 … 敎以農桑 法制同于上國
晉書 卷一百九 載記第九 慕容皝 … 尙經學
魏書 列傳 慕容廆 ...父涉歸...遷邑遼東…死 廆代領部落 ...死 子元眞代痲自稱燕王 置官如魏武輔漢故事 …征高麗[341] 大破之…子儁統任…建國十五年[352] ...置百官


wthong@wontackhong.pe.kr.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2원통치조직의 창시: 모용선비의 연(燕) 북위(北魏,) 출현의 예고

홍원탁 (서울대 교수)

Janhunen(1996: 224)에 의하면, 홍산문화(紅山, 4,000-3,000 BC) 이후 남만주 문화의 발전단계는, 특히 상나라에 앞섰던 하가점 하층문화(夏家店下層, 2,000-1,500 BC)에 이르기 까지는, 분명한 연속성을 유지하였다. 옛 연(燕, 1027/1025?-222 BC)나라는 전국시대(403-221 BC)에 와서야 비로서 중국왕조의 역사에 분명하게 나타난다. 민족, 언어, 문화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요서(灤-大凌河유역)와 오늘날의 하북성 지역에 위치했던 고대의 연나라는 원래 중국적인 요소가 거의 없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Janhunen은 홍산문화의 후예인 (원시-알타이 계통 언어를 사용했던) 원시-선비족들이 바로 초기 연나라의 주 구성원 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선비족들은, 130-180년 기간 중, 짧은 기간이나마 하나의 제국 노릇을 했다 이 단명의 선비제국은 몽골고원의 흉노 세력을 일시적으로 대체했었다. 그 후, 한 동안 약세이었다가, 한족 왕조들이 쇠퇴함에 따라, 4세기에 연 왕국들을 세울 수 있었고, 5세기에 와서는 최초의 북중국 정복왕조인 북위를 세우게 되었다.

후한의 쇠망은 184년 황건적의 난으로 시작되었다. 188년에 영제(靈帝)가 죽은 후, 한의 통치자들은 지방 군벌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요동은 190년부터 238년까지 공손씨(公孫度, 公孫康)에 의해 점거되었는데, 이들은 196-220년 기간 중 낙랑군 남쪽에 대방군을 설치하였다. 연왕이라 자칭하던 공손연(公孫淵)는 위(曹操魏)의 원정군에 의해 239년에 살해당하였다. 중국의 삼국시대(三國, 220-265)에는 선비의 작은 부족장들이 위 조정과 개별적으로 흥정을 하면서 변경의 많은 지역을 자신들의 땅이라고 주장하였다. 위는 국경 밖의 유목민에게는 후한 보조금을 주면서 국경무역을 허락하였고, 국경 안의 부족들에 대해서는 간접지배 정책을 유지하였다. 단명의 서진(西晉, 265-316) 역시 위의 정책을 답습하였다.

285년, 선비족 우두머리 모용외(慕容廆)는 부여를 공격했을 뿐 아니라, 기원전108년에 한무제가 고조선을 정복 한 이래 한족이 점거한 요하 유역의 농경지대에 대한 공격도 시작하였다. 요하 유역은 중국이 통일되면 한족 제국으로 흡수 통합이 될 수 있었지만, 무정부상태의 혼란기에는 제일 먼저 제국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지역이었다. 2  하긴 중국대륙의 한족 통치자들 역시 동북 변경지대를 그리 중시하지 않았고, 그 지역 주민들에게는 상당한 자치권을 주었었다.

291-305년 기간 중, 중국대륙 전역에 내란이 일어났다. 위와 서진의 볼모정책 덕분에 중국 왕실 내에서 성장하고 중국화된 새로운 유형의 흉노족 지도자가 선우가 되어, 317년에 낙양에서 진 나라 황제를 사로잡아 서진을 붕괴시켰다. 진 황족의 일부는 남쪽으로 달아나, 양자강을 장벽으로 삼아 건강(建康, 지금의 南京)에 수도를 정하고 동진을 세웠다. 5세기에 게르만족에 의해 황폐화된 로마를 콘스탄티노플이 대신하였던 것처럼, 남경은 589년까지 장안과 낙양의 역할을 대신했다.

Ledyard(1983: 331)는 317년을 중국 역사상, 사회적으로 또 정치적으로, 하나의 분기점으로 이해한다. 중국 대륙의 주요 부분이, 아니 가장 중요한 부분이, 한족이 아닌 이민족에 의해 점령된 역사적 전환점이 바로 317년이라고 생각한다.

흉노가 북중국에 처음으로 세운 전조(前趙, 304-329)는 너무 중국식이었기 때문에 몽골초원지대의 토박이 흉노 부족들로부터 호감을 사지 못하고 내분의 씨앗을 키웠다. 반대로, 두 번째 조나라(319-349)는 지나치게 흉노식이였기 때문에 중국백성들을 제대로 다스릴 수 없었다. 마지막 흉노왕의 아들은 후궁 하나를 식탁에서 구울 정도로 극악무도했다 한다. 4

당시 만주의 선비족은 더 이상 순수한 유목민이 아니었다. 그들은 이미 상당기간 요하 유역을 점령하여 농민과 도시민을 지배해왔었다. 선비족은, 요서 초원지대는 부족 전통에 따라 군사적으로 조직을 하고, 요하 유역에 거주하는 농민과 도시민들은 중국식 문민 관료제도로 다스리는 2원적 통치조직을 운용했다. 문민 관료는 절대로 부족들로 구성된 군의 지휘관이 되지 못하였다. Barfield(1989: 97-99, 106)에 의하면, 모용 선비가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5호17국 시대(304-439)에 관료적 행정과 부족적 군사를 분리한 2원적 통치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를 세운 것이다.

Fairbank(1992: 111-2)에 의하면, 한편으로 중국적이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유목적인, 2원 제도는 4세기부터 남만주지역에서 나타나는데, 후대 몽골족과 만주족 정복왕조를 거치면서 거대한 제국 전체를 장악하고 지키는 통치체제로 완성되었다. 덕으로 다스린다는 유교적 신화가 있지만, 왕조의 시초가 바로 군사력이고, 황제 중심 전제체제는 지배자가 반란세력을 진압할 수 있는 충분한 군사력을 가졌을 때만 존속이 가능 한 것이다. 하지만 일단 왕조가 확립되면 관료체제는 결국 문민에 의해 운영되게 마련이다. 유교 전통으로 훈련 받은 문관이 군사전문가로 변신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고, 개중에는 유능한 장수가 나오기도 했지만, 근본적으로 군사기술은 유목 정복자들의 주 특기였다. 상황 판단이 빠르고 혁신적인 만주 유목민들이 중국대륙의 심장부를 점령하고, 중국식 관료조직의 능률성과 자신들의 고유한 군사적 특기의 장점을 모두 취합하여, 이원적 지배체제를 만들어 통치를 하게 된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모용외(283-333)와 그 후계자들은 느슨한 연맹체의 부족 집단을 이원적 통치체제의 국가로 변모시켰다. 15세에 족장이 된 모용외는 일직이 농업과 관료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중국식 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었다. 그의 뒤를 이은 모용황(慕容皝, 337-352)은 스스로 전연(前燕, 337-370)의 왕이라 칭하면서, 유목민과 농경민 모두를 지배하였다. 5  연은 전국시대에 중국대륙 동북방에 있던 왕조의 이름이었다. 모용 선비는 오늘날의 북경을 포함하는 하북성의 북부지역까지 강역을 확장하였다. 전연은 364년에 낙양을 점령하였고, 단기간이나마 양자강 이북의 중국대륙 동부를 점령하여, 본격적 정복왕조인 북위(北魏, 386-534)의 출현을 예고하게 되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중국: 황금시대의 여명-200년부터 750년까지'라는 주제로(2004.10.12.-2005.1.23.) 전시회를 열었는데, 오늘날 요녕성의 서부에 위치한 조양(朝陽)과 북표(北票) 지역에서 발굴되고 모용 선비 고유의 유물로 확인된 상당수의 청동기와 금동제품들을 전시했다. 전시 내용을 책자로 펴낸 Watt(2004: XIX) 등은 모용 선비의 예술품에 나타난 전형적인 도안들을 얼마 후에 중국대륙의 북위와 한반도의 신라 예술품에서 다시 보게 된다고 말한다.

조양에서 발굴된 한 쌍의 말안장에 새겨진 (새와 다른 동물들을 품은 6각형들의) 투과형 문양은 모용 선비 고유의 기법인데, 후에 북위로 전파된다. Watt(2004: 125)등은, 이 문양이 같은 시대에 한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한 신라왕국의 한국사람들에 의해서도 채택되었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이런 문양들은 신라에서만 채택된 것이 아니라, 가야에서도, 또 얼마간의 시차를 두고, 일본 열도의 야마토 왕국에서도 채택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양식과 문양에 아주 익숙한 한국 사람들은, 오히려 이런 유물들이 선비족의 유적지에서 나왔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370년, 선비족의 연나라는 부견(苻堅)의 전진(前秦, 351-394)에 의해 정복된다. 부견을 흔히 탕구트(티벳)족 출신이라 하지만, 돌궐-몽골 계통의 지배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북중국 전체의 새로운 주인이 된 부견은, 동진(東晋, 317-420)을 정복하려고 남쪽에서 대규모 전쟁을 벌였지만, 383년의 비수(肥水) 전투 패배로, 전진 왕조를 재기불능으로 만들었다

탁발이란 이름의 선비족은 그들 본거지인 성락(盛樂)으로부터 병주(幷州)로 침입하기 시작하였다. 북위를 세운 탁발규(拓拔珪)는 398년에 만리장성을 넘어 산서성 북쪽으로 쳐들어와 평성(平城, 오늘날의 大同)에 수도를 정했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9 (2005. 2. 19.)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Guo (1995b: 148-9, 179) 참조

2. Barfield (1989: 105)

3. Barfield (1989: 99)

4. Grousset (1970: 58)

5. See Barfield (1989: 109-111) and Gerhardt Schreiber, The history of former Yen dynasty, Monumenta
Serica, Vol. 14 (1949-55: 374-480) and Vol.15 (1956: 1-141).

晉書 卷一百八 載記第八 慕容廆 … 太康十年 … 敎以農桑 法制同于上國
晉書 卷一百九 載記第九 慕容皝 … 尙經學
魏書 列傳 慕容廆 ..父涉歸..遷邑遼東…死 廆代領部落 ..死 子元眞代痲自稱燕王 置官如魏武輔漢故事 …征高麗[341] 大破之…子儁統任…建國十五年[352] ..置百官

(업코리아 2005-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