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발해와 일본

옛 발해 땅에서 일본까지의 뱃길을 되살리려던 ‘발해 뗏목탐사대’의 꿈이 또다시 좌절됐다. 탐사대원들은 표류 3일만에 구출되었고 탐사는 중단됐다. 그래도 지난 1998년 초 첫 탐사에서 대원 4명이 폭풍우를 만나 모두 숨진 걸 생각하면 그나마 다행이다.

발해(698∼926년)와 일본의 관계는 어떠했을까. 양국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는 기록은 없다. 반면 200년동안 공식사절단이 50회쯤 오갈 만큼 교류가 활발했다. 발해사(渤海使·발해 사절단)가 일본 땅에 첫발을 디딘 것은 727년. 사절단이 일본 국왕에게 전한 국서에서 발해의 2대 임금 무왕(武王)은 “고려(=고구려)의 옛터를 회복하고 풍속을 이어받았다.”고 밝히며 고려 국왕을 자처했다. 일본도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국임을 인정해 이 무렵 일본 기록은 발해·고려를 동의어로 섞어 썼다.

양국 교류에서 주도권은 발해가 행사했다. 발해사가 34차례 일본을 찾은 데 견줘 일본이 발해에 보낸 공식사절인 견(遣)발해사는 3회에 불과했다. 발해사는 일본에서 국빈 못잖은 대접을 받았다. 일본 사서는 발해사 접대를 전담하는 관원이 13가지 직책에 20명이나 되었다고 기록했다. 이들은 발해사의 음식·의복 수발은 물론 입국·입경(入京)·귀국 등 단계별로 영접·환송을 나눠 맡았다.

사절의 교류는 곧 경제교류였다. 발해사가 들고 온 것(수출품)은 주로 담비·호랑이 등의 가죽이었고 때로는 백두산 산삼과 꿀이 포함됐다. 발해 모피는 신분과시용으로 귀족사회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920년 발해사를 환영하는 연회에서 일본의 한 왕자는 6월의 더위에도 담비가죽옷 8벌을 껴입고 참석한 일이 있다. 반면 발해사가 가져간 것(수입품)은 삼베·명주 등 섬유류가 대부분이었다. 발해사는 문화교류에도 크게 이바지해, 발해사가 뜨면 일본은 당대의 문장가들을 모아 한시(漢詩)를 주고받는 접대를 했다. 발해에서 ‘음성(音聲)’을 배우던 일본인이 귀국중 재난을 당한 기록이 있는 걸 보면 유학생·유학승도 꽤 있은 듯하다.

당나라 조차 ‘해동성국’이라고 부러워한 발해, 그 발해와 일본이 통하는 뱃길은 평화와 공존·공영의 길이었다. 이를 오늘에 되살리려는 ‘발해 뗏목탐사대’의 꿈이 머잖아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서울신문 / 이용원 논설위원 2005-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