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공존: 화친(和親)정책 혹은 조공(朝貢)관계의 실체

Extortions in the Name of Heqin (Peace and Kinship) or Tributes Peaceful Coexistence

한족(漢族) 조정에 대한 흉노-선비(匈奴, 鮮卑) 등 이민족의 갈취(喝取) 행위는 화친(和親)정책 혹은 조공(朝貢)관계 등과 같은 완곡한 표현으로 포장이 되었었다. 소위 “야만족”을 정벌한다는 것은 비용도 비용이지만, 상당히 위험한 도박이었다. 그럴듯하게 들리는 칭호의 수여, 다양한 공물(貢物)의 제공, 보조금 성격의 국경무역, 등을 대가로 하는 평화조약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중국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수단이었다. 한족 지배자들은 복속(服屬), 신종(臣從)의 예(禮), 조공 등의 표현을 구사해서 외형상으로 이민족 사절을 마치 속국에서 온 조공사인 것처럼 취급하면서, 이념상의 자기만족을 하고, 중국 중심의 허구적 중화세계관을 내세울 수 있었다. 본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 The Chinese Sphere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of the mainland China (220-265) Ebrey (1996: 87)

Extortions in the Name of Heqin (Peace and Kinship) or Tributes Peaceful Coexistence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In 209 BC, three years before Liu Bang established the Han dynasty, an extremely capable Xiong-nu leader emerged. Under Mao-dun’s leadership (r. 209-174 BC), the Xiong-nu could organize their nomadic tribes into a unified force, and convert the tribal confederation into a nomadic empire.1 At about the time Mao-dun first became Shan-yu, the power of the Dong-hu had reached its zenith, and frequently invaded the lands of the Xiong-nu. The situation, however, was soon reversed. In a surprise attack, Mao-dun conquered and subjugated the Dong-hu.2

For the hunter-cavalry nomads, there was little distinction between civilian and military life. Riding and archery were daily life, and they learned discipline and coordination in the seasonal movement of camps and tribal hunting. Since animals were brought along on long expeditions, production activities did not have to be interrupted by military campaigns which were by themselves profitable ventures. In war, each clan was grouped as a separate detachment under the command of its own clan chieftain. In the aristocratically organized nomad army, a hereditary bond of tribal loyalty united the captains of tens, of hundreds, of thousands, and of ten thousands. A nomadic state had effectively maintained a universal obligatory system of military service for their entire tribes. 3

The Xiong-nu religion was shamanism based on the cult of Heaven (Tängri) and on the worship of certain sacred mountains. They believed that a shaman could communicate with the spirits of heaven to cure illness, curse an enemy, and predict the future. The spiritual culture of shamanism was common to all the ancient Turko-Mongol peoples, and connected the entire Northern Mongoloid people. The cultural parallel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include a regional variety of shamanism with a preponderance of female shamans. Even the Ainu cultural heritage includes the Siberian shamanism as well as the bear cult of Northern Eurasia (see Janhunen, 1996, p. 175).

In 200 BC, Han Gao-zu (r. 206-195 BC) made the same mistake as Shi-huang-di and attacked the Xiong-nu. Mao-dun’s forces could encircle Gao-zu at Ping-cheng (the present-day Datong district, west of Beijing) but Mao-dun let Gao-zu’s forces escape from the trap with a quid pro quo in mind. The Han court soon established heqin (peace and kinship) relations with the Xiong-nu by proclaiming the brotherhood, and by offering imperial princesses in marriage to the Shan-yu, lavish gifts of luxury items, huge subsidies (in cash, floss, silk, wine, rice and other foodstuffs) and subsidized trade at frontier markets.4 The Great Wall was accepted as the boundary between the empires.

The Xiong-nu ruler could secure a regular source of revenue and luxury goods to reward the tribal elite, as well as border markets to provide profitable trade for the ordinary nomads. Much of the silk acquired by the Xiong-nu passed through the middlemen, including Sogdian, Parthian, and Indian merchants, and ended up in Rome. The Qin and Han empires with about 50 million people confronted the steppe empire of Xiong-nu of about one million people, maintaining a kind of balanced partnership. 5

The Yue-zhi people, likely of nomadic Aryan stock, were driven out of Gansu by Mao-dun. They fled all the way to Fergana on the borders of the Greek kingdom of Bactria in about 160 BC, and eventually established the Kushan dynasty in the first century AD, extending its territory to Kabul and northwest India. A thrust at one end of the steppe set in motion a chain of unexpected consequences.

Wu-di (141-87 BC) greatly expanded the Former Han Empire (206 BC - 8 AD), conquering the southern coast in Zhe-jiang and Fu-jian, and annexing Guang-dong, Guang-xi and northern Vietnam in 111 BC. The Han troops moved into the Tarim Basin and conquered the city states there. This move was to “cut off the right arm of the Xiong-nu” and to stop the revenue the Xiong-nu derived from the city states of Turkestan. 6

Han Wu-di grew irritated with the expense and humiliation incurred by the heqin policy. In 133 BC, Wu-di had abandoned the appeasement policy and, by 117, threw the Xiong-nu back into Upper Mongolia. Wu-di also invaded Old Chosun in 108 BC, in order to “sever the left arm of the Xiong-nu,” and established the outposts of commanderies in 107 BC in the lower basin of the Liao River and the nor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Janhunen (1996: 194), “as colonial representatives of the Chinese political state, the Han Chinese soldiers, administrators and merchants in Manchuria and Korea are likely to have been characterized by an inherent instability, which ultimately forced them either to return to the Motherland or to become assimilated by the surrounding Northern Barbarians.” 7

After an initial series of victories against the Xiong-nu, however, Wu-di suffered major reverses that put the Han Empire on the defensive by the end of his reign. Wu-di was later criticized for bankrupting the Han court in pursuit of short-lived glory. Wu-di had to provision large numbers of troops, and promote victorious generals. To provision Chinese forces in pursuit of nomadic warriors into the vast steppe was, however, immensely costly. Si-ma Qian attributes both the decline of the Han economy and the growth of administrative corruption to Wu-di’s military activities (see Jagchid and Symons, 1989, pp. 62-3).

In 54 BC, long after the abandonment of Wu-di’s aggressive policies, the Xiong-nu accepted Han China’s ceremonial tributary relations — mere tokens of symbolic submission, being identical in essence to the heqin relations. This was an extortion sugarcoated with euphemisms such as “submission,” “homage,” and “tribute.” The Han rulers could at least gain the ideological satisfaction of treating envoys as if they were from subject states, maintaining the fiction of a sinocentric world order. 8

According to Jagchid and Symons (1998: 116), “although payments to the nomadic states are hidden behind the mask of carefully selected terms and couched in the rhetoric of tributary formulas, in reality many Chinese dynasties were presenting tribute to nomadic powers stronger than they in order to avoid conflict.” and “although extremely expensive to the sedentarist, trade and the presentation of gifts was infinitely less costly than military alternatives.”

In 33 BC, the Xiong-nu Shan-yu was presented with five women selected from the Chinese court ladies-in-waiting. One of these ladies, named Wang Zhao-qun, impersonating a princess, gave birth to two sons. When the Shan-yu died in 31 BC, following the custom of the Xiong-nu, she became a wife of the new ruler, giving birth to two daughters. She became the most famous beauty in Chinese folklore and an enduring source of inspiration in its literature.

The Xiong-nu never tried to conquer China because their number of troops was sufficient to conduct savage raids to terrify the Han court but was too few to occupy the Chinese territory. Nor did they have the sedentary administrative structure necessary to govern the agricultural land. The Xiong-nu tried to exploit China without exposing their own weakness in numbers or losing their mobility. They employed terror as a tool to extract subsidies and discourage resistance against them. The frequent breaches of peace treaties were aimed at increasing subsidies.9 The sedentary neighbors of China tried to adopt Chinese culture, but the horseriding nomads always preferred mobile pastoralism, consuming milk and meat in tents under the canopy of blue sky.

The Han court believed that buying off the barbarians, though usually costing much more than 10 percent of the annual government revenues, was still cheaper than fighting the barbarians. The punitive expeditions into the steppe a la Wu-di were not only costly but perilous. A peace pact guaranteed secure frontiers in exchange for titles, subsidies, and border markets. The costs of subsidies amounted to only a fraction of the costs of maintaining troops on the frontier. Petty tribal leaders in a centralized nomadic state were not permitted to negotiate directly with the Chinese court. The supra-tribal leader maintained its monopoly on the tributary system. It was the Great Shan-yu who redistributed among the petty tribal leaders, to secure their continued support, the ever-increasing tributary benefits extracted from the Han Chinese. The Chinese court, Barfield (1989: 248) notes, “could often count on military aid from the nomads to put down rebellions or repel invasions because the nomads wanted to maintain a profitable status quo.”

BIBLIOGRAPHY


[각주]

1 Mao-dun assumed the title of Shan-yu (Ch’eng-li Ku-t’u Shan-yu, implying Majesty Son of Heaven), served by the wise kings of both the right and the left.
Ch’eng-li is the transcription of the Turkic and Mongol word Tängri (Heaven).

According to Barfield (1989: 36, 41-2), the Xiong-nu empire was autocratic and state-like in foreign and military affairs but consultative and federally structured for dealing with internal problems. Tribal leaders had autonomy to run their own local affairs. The pattern of Xiong-nu succession was very much lateral: from elder brother to younger brother until a generation was exhausted. The nomads preferred a proven warrior to an untried youth. By seniority, the eldest son of the eldest brother was entitled to the throne after all the younger brothers had died. However, the sons of the more recent Shan-yu, could employ their fathers’ political allies in their own struggles among cousins for the throne. The system caused a cyclical instability for the nomadic empire, breaking out in civil war.

2 See “Han Foreign Relations” by Yu Ying-shih in Twitchett and Loewe (1986: 436). Father of Mao-dun, Tu-men, had moved away from the Ordos to escape the Qin Shi-huang-di’s army.
Mao-dun had murdered his father and made himself ruler.
See Lattimore (1961: 334).

史記 卷第一百十 匈奴列傳 第五十 … 當是之時 東胡疆而月氏盛 匈奴單于曰頭曼 頭曼不勝秦 北徙 …單于有太子冒頓… 冒頓旣立 是時東胡疆盛 聞冒頓殺父自立 … 冒頓 … 遂東襲擊東胡 … 大破滅東胡王 而虜其民人及畜産 … 遂侵燕

3 The Qin and Han dynasties conscripted all able-bodied males to serve the army for two years. Under the Sui (581-618) and early Tang dynasties, soldiers were conscripted from selected families in return for tax exemptions, and served for a limited amount of time each year until their age of retirement, providing their own equipment and rations. Because the training period for conscript peasants was too limited to achieve a professional standard, the long campaigns had to be supplemented by mercenaries.

4 史記 卷第一百十 匈奴列傳 第五十…高帝乃使…奉宗室女公主爲單于閼氏 歲奉匈奴 絮繒酒米食物各有數 約爲昆弟以和親

The Shi-ji (in the Lie-zhuan on Liu Jing) records that, when Gao-zu determined to send his only daughter to marry Mao-dun, “Empress Lü wept day and night and said, ‘I only [gave birth to] the crown prince and one daughter. How can [we] throw her away to the Xiong-nu?’ The emperor relented, selected another girl from a member of the imperial family, entitled her the eldest princess, and sent her to marry Mao-dun (see Jagchid and Symons, 1989, p. 142).”

5 See Barfield (1989: 49) and Janhunen (1996: 180).
According to Barfield (1989: 28), “the direct descendants of the Xiong-nu founder Mao-dun ruled over the steppe for 600 years in greater and lesser capacities, as did the direct descendants of Ching-gis Khan for 700 years, and a single unbroken Turkish dynasty (of Inner Asian heritage) ruled over the Ottoman Empire for more than 600 years.” With revolutions in military technology in the eighteenth century, however, nomads were subjugated by and incorporated into the expanding sedentary empires, much like the fate of the Kazakhs under czarist Russia.

6 See Barfield (1989: 54).
From the glaciers and high snows of ranges that rise in peaks to over 20,000 feet, river flows down into the Taklamakan basin, where waters can be spread out through irrigation canals to form an oasis. In summer, more water is provided by the melting of the snows. Each oasis has also its own mountain hinterland, from which it gets minerals and a certain amount of livestock from herdsmen in high Alpine pastures (see Lattimore, 1944, pp. 47-48).

7 Liao-dong was a “reservoir” in which the fluid elements of Han Chinese and native cultures swirled in response to political and economic currents. The Han Chinese who had come eastward from the mainland China became cultural chameleons, blending alternately with the Ruzhens, the Xianbei, the Mongols, or the Koreans as advantage dictated.
Cf. Crossley (1999: 46-49).

8 See Barfield (1989: 248).
Jagchid and Symons (1989: 55) repeat the statement made by a counselor, named Zhai I, to the Han Emperor Wen-di (180-157 BC): “Now the Xiong-nu are boastfully and arrogantly invading and looting. They have reached the limit of insult … Yet the Han court annually presents them gold, silk, embroideries, and satin, which shows that the barbarians command and play the role of the lord above. The Son of Heaven presents tribute and fulfills the ritual of the vassal below.”
漢書卷四十八 賈誼傳 …今匈奴…侵掠… 而漢歲致金絮采繒以奉之 夷狄徵令 是主上之操也 天子共貢 是臣下之禮也

According to Jagchid and Symons (1989: 15), “the Xiong-nu rulers addressed the Han court on a brother-to-brother basis, and the northern rulers of the Liao and Jin dynasties addressed the Song court on an uncle-to-nephew basis, whereas some Mongols of the Ming period accepted a vassal-to-lord relationship.”
金史 卷六 本紀第六 世宗上 五年 宋…以國書來… 稱姪宋皇帝 稱名 再拜奉書于叔 大金皇帝

9 Barfield (1989: 91).

wthong@wontackhong.pe.kr .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EAST ASIAN HISTORY: A KOREAN PERSPECTIVE Vol. 1. No. 7. 2005. 2. 5.

평화공존: 화친(和親)정책 혹은 조공(朝貢)관계의 실체

洪元卓 (서울대 교수)


유방(劉邦)이 한나라를 세우기 3년 전인 BC 209년, 흉노족 중에 매우 뛰어난 지도자가 나타났다. 묵특(冒頓, r. BC 209 - 174)의 영도 하에 흉노족은 유목 부족들을 통합하여 단일 세력으로 조직했고, 느슨한 부족연맹체를 유목제국으로 만들었다.1 묵특이 처음으로 선우가 되었을 당시에는 동호(東胡)의 세력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이었기 때문에, 동호들은 자주 흉노의 땅을 침범하였다. 하지만 묵특의 등장으로 상황은 곧 역전되었다. 묵특은 기습공격을 하여 동호를 정복하고 복속시켰다.2

당시, 목축과 사냥을 주로 하는 유목민들에게는 민간생활이나 군인생활이나 큰 차이가 없었다. 말타고 활쏘는 것은 일상 생활이고, 계절에 따라 천막을 걷고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또 전 부족이 참여하는 사냥을 통해 단체의 일원으로, 조직적으로 행동을 통일하고 협조-조정하는 습관을 훈련 받고 몸에 익힌다. 장기간에 걸친 원정을 떠날 때는 가축들을 함께 데리고 가기 때문에 생산활동이 중단되지 않았고, 이들에게는 오히려 군사행동 자체가 수익성 높은 모험사업이었다. 전장에서 각 부족은 자신들의 부족장의 직접 지휘를 받는 조직으로 전투작전을 수행했다 세습적 귀족제도를 기반으로 조직된 유목민 군대는, 대를 이어 내려오는 부족 내 충성심으로 백인장(百人長), 천인장(千人長), 만인장(萬人長)들 간의 유대를 공고히 했다. 유목국가는 전 부족의 모든 구성원이 총동원되는 개병제(皆兵制)를 효과적으로 유지했다. 3

흉노의 신앙은 하늘을 받들고, 특정한 산을 신성시 하여 모시는 샤머니즘이었다. 그들은 무당이 하늘의 심령과 의사소통을 하여 병을 고치고, 적을 저주하며, 미래를 예언할 수 있다고 믿었다. 모든 원시 투르코-몽골족들에게 공통된 영적 문화는 샤머니즘의 이었으며, 이는 북몽골로이드 인종 전체를 연결시키는 고리가 되었다. 한반도와 만주의 문화적 공통성은 남자보다 여자 무당을 선호하는 샤머니즘의 지역적 변형의 특색이다 일본 열도의 아이누족 또한 시베리안 샤머니즘과 북유라시아 곰 숭배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Janhunen, 1996, p. 175 참조)

BC 200년, 한 고조(漢高祖, BC 206-195) 역시 진시황과 같은 실수를 범하여 흉노를 공격했다. 묵특의 군대는 평성(平城, 현 산서성 大同)에서 고조의 군대를 완전 포위했으나, 묵특은 자신이 호의를 베풀면 그 대가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고조가 달아날 수 있도록 길을 터 주었다. 아니나 다를까, 얼마 후, 한나라 조정은 흉노와 형제지간 임을 선언하면서, 선우에게 자신의 딸을 시집 보내고, 온갖 호화사치품을 선물로 주고, 현금, 명주솜, 비단, 술, 쌀과 기타 식료품 등 막대한 량의 공물을 제공하고, 또 보조금 성격의 국경무역을 한다는 조건으로 흉노와 화친(和親)관계를 맺었다. 4  만리장성이 양 제국간의 국경으로 인정됐다

흉노의 지배자는 자신 휘하의 모든 부족장들에게 충성의 대가를 정기적으로 지불할 수 있는 막대한 규모의 수입과 사치품들을 확보했고, 일반 유목민들에게는 유리한 조건으로 교역을 할 수 있는 국경무역 기회를 제공했다 흉노가 획득한 엄청난 양의 비단은 소그드족과 파르티안, 인도상인 등등의 중개상을 통해 당시 로마에까지 도달하였다. 대략 5천만명 정도의 인구를 가졌던 것으로 추산되는 진-한(秦漢)제국은, 백만명 내외의 유목민 흉노제국과 힘의 균형을 바탕으로 한, 일종의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대치(對峙)했다. 5

아리안 계통 유목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월지국(月氏國) 사람들은 묵특에 의해 감숙성(甘肅省)에서 내몰려, BC 160년경에 박트리아(옛 그리스인들이 중앙아시아에 세운 왕국)와 접경한 페르가나 지역으로까지 달아날 수 밖에 없었으나, 1세기경에 와서는 아프카니스탄의 카불과 인도 북서부를 포함하는 쿠샨왕조를 세울 수 있었다. 이 사례는, 초원의 한쪽 끝에서 누군가가 누군가에 의해 밀리게 되면, 그 결과 예기치 않은 연쇄반응이 어디까지 일어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전한(前漢)의 무제(武帝, BC 141-87)는 BC 111년에 중국대륙 남부연안의 절강, 복건, 광동 지역 등을 정복하고, 광서와 베트남의 북쪽지역까지 진출하여, 대대적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한나라 군대는, 투르키스탄의 도시국가들로부터 흉노가 징수하는 수입원을 차단해 흉노의 오른팔을 자르기 위해, 타림분지의 도시국가들을 정복하였다. 6  

한 무제는 화친정책이 유발한 막대한 비용과 굴욕감을 참지 못하여, BC 133년에 유화정책을 폐기하고, BC 117년에는 흉노를 공격하여 몽골초원 북부로 내쫓았다. 무제는 또 흉노의 왼팔을 잘라버린다며, BC 108년에 고조선을 정복하고, 요하 하류 유역과 한반도 서북쪽 해안지대에 한 사군을 설치하였다. Janhunen(1996: 194)에 의하면, 중국 정권을 대표 해 한반도와 만주로 이주해 온 한족 관료, 군인, 상인들은 그 불안정적 특성 때문에, 결국에는 모국으로의 귀환이 강요되거나, 아니면 주변 야만인들에 동화될 수밖에 없었다. 7

처음에는 흉노와의 싸움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얼마 못 가 형세는 역전되고, 한 무제 말기에는 수세로 전환되었다. 후세 사가들은 한 무제가 순간적인 영광을 쫓느라 조정의 재정을 파탄시켰다고 비난하였다. 무제는 대규모의 군대를 먹여 살리고, 막대한 전비를 지출하고, 또 전승한 장군들을 승진시켜주어야만 했다. 그러나 광활한 초원지역에서 유목민 병사를 추적하는 한족 군대에 식량과 기타 군수품을 보급한다는 것은 엄청난 비용지출을 의미 하였다. 사마천은 한나라 경제가 몰락하고, 관료의 부패가 만연하게 된 것은 모두가 무제의 군사활동 탓이라고 말했다 (Jagchid and Symons, 1989, pp. 62-3을 참조)

무제의 공격적인 정책이 폐기되고 한참 후인 BC 54년에 흉노는 한족의 의례적인 조공관계를 --단지 이름뿐인 상징적 복속으로, 실질적인 의미에서는 화친과 그 내용이 동일한 관계를-- 수용하였다. 이것은 복속, 신종(臣從)의 예, 조공 등과 같은 완곡한 어구로 포장된 갈취였다. 한 나라 지배자들은 외형상으로 흉노 사절을 마치 속국의 온 조공사인 것처럼 취급하면서, 이념상의 자기만족을 하고, 중국 중심의 허구적 중화세계관을 내세울 수 있었다. 8

Jagchid and Symons(1998: 116)에 의하면, “신중히 선택된 용어와 조공 이라는 수사학적 표현으로 포장을 하여 유목국가에 대한 보상을 숨겼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한족 왕조가 무력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자신들보다 훨씬 강한 유목세력에게 조공을 바친 것이었다. 정착-농경 국가는 평화공존을 위해 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었지만, 그래도 군가적 해결책 보다는 공물을 바치고 국경무역을 제공하는 편이 훨씬 비용이 싼 셈이었다”

BC 33년에 한 조정은 궁녀들 중 5명의 여인을 뽑아 흉노 선우에게 선사 했다. 그들 중 한명인 왕소군(王昭君)은, 한나라 공주인 것처럼 하여, 선우의 두 아들을 낳았다. 선우는 BC 31년에 죽었고, 그녀는 흉노의 관습에 따라 새로운 지배자의 아내가 되어 다시 두 명의 딸을 낳았다. 그녀는 중국 민속의 가장 유명한 미인이 되었으며, 중국문학의 끊임없는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다.

흉노는 그들 군대의 숫자가 야만적 약탈을 자행 해 한나라 조정을 겁주기에는 충분하지만, 중국 전역을 정복하여 통치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절대로 중국대륙을 정복하려 들지 않았다. 흉노는 정주농경 지대를 점령하고 통치를 할 관료조직도 없었다. 흉노는 수적인 면에서의 자신들의 약점을 노출시키지 않고, 또 기동성을 잃지 않으면서, 중국을 착취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막대한 공물을 빼앗아 내고, 한족의 저항 의지를 제거하는 최상의 도구가 바로 한족을 공포에 떨게 만드는 것이라 믿었다. 평화협정의 잦은 파기는 받아내는 물자의 량을 늘리려는 방책이었다. 9  중국 주변의 정주농경 국가들은 중국문화를 모방하려 애를 썼지만, 말 타는 유목민들은 항상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푸른 하늘을 지붕 삼아 천막을 치고 우유와 고기를 먹는 목축생활을 선호하였다.

한나라 조정은, 비록 매년 세수의 10% 이상을 지불해야 하지만, 이런 식으로 흉노를 매수하는 것이 야만인들을 상대로 전쟁을 하는 것보다는 훨씬 값싸다고 믿었다. 한 무제 방식으로 초원지대를 정벌한다는 것은 비용도 비용이지만, 상당히 위험한 도박인 것이었다 평화조약은 그럴 듯 하게 들리는 칭호의 수여, 다양한 공물의 제공, 보조금적 국경무역을 대가로 안전한 국경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이 모든 비용은 국경에 대규모 군대를 유지하는 비용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적었다. 중앙집권화된 유목국가에서 작은 부족장들은 중국 조정과 직접적으로 협상을 하는 것이 용납되지 않았고, 최고통치자가 조공제도를 홀로 장악하였다. 대선우는 매년 증가하는 한족으로부터의 조공 수입을 부하 부족장들에게 분배해 주면서 그들로부터 지속적인 충성을 확보했다. Barfield (1989: 248)는, 한족 조정이 현상유지를 원하는 유목제국으로부터 종종 군사적 도움을 받아 내부 반란을 진압하거나 혹은 다른 외적의 침입을 격퇴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7 (2005. 2. 5.)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각주]

1. 묵특은 좌현왕(左賢王)과 우현왕(右賢王)을 거느린 “당리고도”선우(撐犁孤塗單于; 거룩한 하늘의 아들을 상징)가 되었다. “당리”는 돌궐-몽골 말로 하늘을 뜻한다. Barfield(1989: 36, 41-2)에 의하면, 흉노제국은 대외관계나 군사적인 문제를 처리할 경우에는 하나의 전제국가로서 행동을 했지만, 내정은 부족들간에 협의와 협조를 바탕으로 처리하는 연방체제이었기 때문에, 각 지역의 부족장들은 자신들의 영역을 독자적으로 다스릴 수 있었다. 흉노의 왕위는 대체로 형제승계의 관행을 따라, 맏형부터 막내에 이르기까지 왕위가 횡적으로 이어졌다. 이들 유목민은 확증이 안된 젊은 지도자 보다는 분명하게 증명된 성숙된 지도자를 선호하였다. 이론상, 맏형의 맏아들은 모든 삼촌들의 승계가 끝난 다음에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하지만 막내 삼촌인 현(現) 선우의 아들은 종종 부친의 정치적 영향력을 동원 해 왕위를 차지하려고 사촌들과 싸움을 벌렸다. 이런 관행은 유목제국에 주기적 정치불안정과 내전을 야기했다

2. Twitchett and Loewe (1986: 436) 논문집에 여영시(余英時)가 쓴 “한(漢)의 대외관계”를 참조. 묵특의 부친 두만(頭曼)은 오르도스 초원으로부터 진시황의 군대에 쫓겨 몽골고원으로 달아났었는데, 묵특은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하고 스스로 통치자가 되었다. Lattimore (1961: 334)를 참조.
史記 卷第一百十 匈奴列傳 第五十 … 當是之時 東胡疆而月氏盛 匈奴單于曰頭曼 頭曼不勝秦 北徙 …單于有太子冒頓… 冒頓旣立 是時東胡疆盛 聞冒頓殺父自立 … 冒頓 … 遂東襲擊東胡 … 大破滅東胡王 而虜其民人及畜産 … 遂侵燕

3. 진과 한나라는 전국의 모든 건장한 남자들을 2년간 군대에 징집했었다. 수(隋, 581-618)와 당나라 초기에는, 정해진 군호(軍戶)에서 징집된 사람들이, 세금을 탕감 받고, 자신이 사용할 장비와 먹을 양식을 할당 받은 토지에서 직접 조달하면서, 은퇴할 연령이 될 때까지 매년 일정기간 동안 군인으로 복역하였다. 그러나 징집으로 동원된 농민들이 전문 전투기술을 습득하기에는 훈련기간이 너무 부족했기 때문에, 장기전에서는 전문 용병을 써야만 했다.

4. 사기 유경열전(劉敬列傳)에 의하면, 고조가 딸을 묵특에게 시집 보내기로 결정했다는 말을 전해 듣자, 여황후(呂皇后)는 밤낮으로 울면서 “제게는 태자와 외동딸 밖에 없는데 어떻게 그 공주를 흉노에게 보낼 수 있습니까?”라고 외쳐댔다. 고조는 이를 측은히 여겨, 황족 중 다른 공주를 택해 자신의 맏딸로 입양을 한 다음 묵특에게 시집을 보냈다 (Jagchid and Symons, 1989, p. 142를 참조)
史記 卷第一百十 匈奴列傳 第五十…高帝乃使…奉宗室女公主爲單于閼氏 歲奉匈奴 絮繒酒米食物各有數 約爲昆弟以和親

5. Barfield(1989: 49)와 Janhunen(1996: 180)을 참조. Barfield(1989: 28)에 의하면, 징기스칸의 직계 후손들이 700여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그리고 단일혈통의 터키왕조가 오토만제국을 600여년 동안 지배했던 것처럼, 묵특의 직계 후손들은 다양한 크기의 역량과 지위를 가지고 600여년에 걸쳐 유라시아 목초지대를 지배했다 하지만 18세기에 들어와 군사기술의 일대 혁명이 일어나자, 모든 유목민들은, 제정러시아의 카자크 기병대의 운명에서 볼 수 있듯이, 주변 정주-농경 제국에 흡수, 예속되었다.

6. Barfield(1989: 54)를 참조.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산맥의 2만 피트가 넘는 고지에서, 눈이 녹아 타클라마칸 분지로 흘러내린 강물은 관개수로를 통해 오아시스들을 형성한다. 여름에는 더 많은 눈이 녹기 때문에 농사에 충분한 물이 공급된다. 오아시스 도시국가들는 모두 배후에 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종 광물을 채굴할 수 있으며, 알파인 목초지에서 가축도 기를 수 있었다. (Lattimore, 1944, pp. 47-48를 참조.)

7. 요동 땅은 한족과 토착 문화의 유동적인 요소가 정치적 경제적 흐름에 따라 소용돌이치는 “저수지”였다. 중국 본토에서 동쪽으로 이주한 한족은, 문화적인 카멜레온이 되어, 그때 그때의 형세에 따라 유리한대로 여진, 선비, 몽골, 혹은 한국인으로 융화되었다. Crossley (1999: 46-49) 참조

8. Barfield (1989: 248) 참조. 한서(漢書)를 보면 가의(賈誼)가 한나라 문제(文帝, BC 180-157)에게 “지금 흉노는 교만을 떨며 쳐들어와 노략질을 합니다. 흉노의 모욕적 행위는 극치에 달합니다. 그러나 조정은 매년 금, 비단, 자수직물, 공단 등을 그들에게 바치고 있습니다 이것은 오랑캐가 명령을 하며 윗자리에 앉아 주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반대로 천자는 신하의 예를 갖추어 공물을 바치고 있는 꼴 입니다”라고 말을 하였다. (Jagchid and Symons,1989: 55) 금사(金史)를 보면 흉노들은 한나라를 아우의 나라라고 불렀고, 요와 금 조정은 송 황제를 조카라 불렀다. 명대(明代)의 몽골들은 주종관계로 군림했다. (Jagchid and Symons, 1989: 15)

漢書卷四十八 賈誼傳 …今匈奴…侵掠… 而漢歲致金絮采繒以奉之 夷狄徵令 是主上之操也 天子共貢 是臣下之禮也
金史 卷六 本紀第六 世宗上 五年 宋…以國書來… 稱姪宋皇帝 稱名 再拜奉書于叔 大金皇帝

9. Barfield (1989: 91).

(업코리아 2005-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