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19세기부터 "토문강은 두만강" 주장

조·청, 두차례 국경회담… 첨예한 논쟁

정계비에 기록된 ‘토문강’의 실체가 과연 어디냐는 문제는 이미 19세기부터 한·중 양국 간의 첨예한 논쟁 대상이었다. 조선인들은 19세기 전반기부터 강을 넘고 본격적으로 진출해 이곳에서 농사를 지었다. 1880년대부터 청나라가 이곳의 조선인을 축출하려 하자 조선 정부는 1883년 서북경략사 어윤중(魚允中·1848~96)을 파견해 이곳을 조사케 했다. 그 결과 “토문강 이남의 간도는 조선의 영토”라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조·청 양국은 을유감계회담(1885)과 정유감계회담(1887)의 두 차례 국경회담을 열었다.

첫 번째 회담에서 양국의 현지 조사가 끝나자 조선측은 “백두산 정계비는 두만강과는 상관없는 송화강 지류의 분수령에 세워졌다”며 “토문강은 송화강의 지류임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국측은 “정계비는 실제와 부합하지 않으므로 후에 누군가가 만들어 세웠을 것”이라며 정계비의 신빙성 자체를 부정했다. 이는 정계비의 내용이 ‘토문강=송화강 지류’임을 입증한다는 것을 중국측이 애써 부정하려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두 번째 회담에서 청나라는 강압을 통해 처음부터 ‘두만강의 원류가 어디인가’를 논의 대상으로 삼게 했지만 조선 대표 이중하(李重夏)는 협상을 결렬시켰다.

이후 조선 정부는 1889년 압록강 북쪽 서간도 지역에 28개 면을 설치하고 평안도 관찰사의 관리하에 두었다. 1903년엔 이범윤(李範允)을 간도관리사로 임명해 북간도의 한인을 관할하게 하는 등 적극적인 간도 정책을 폈다. 1899년 정계비 일대를 조사한 함경북도 관찰사 이종관(李鍾觀)은 “토문강은 송화강·흑룡강과 합류해 바다로 들어가는 강”이라고 보고했다. 그것이 1909년 간도협약 당시까지 조선(대한제국)의 일관된 입장이었다.

(조선일보 2005-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