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古천문학

1990년대 초 한국 고대사 체계를 뿌리부터 흔들 만한 논문이 한 학자에게서 잇따라 나왔다.“고구려·백제·신라 3국의 중심지는 중국 대륙이다.” “고조선을 기록한 ‘단기고사’ ‘단군세기’의 내용은 정확하다.”는 주장이었다. 발표한 이는 역사학자가 아닌 서울대 천문학과의 박창범 교수(현 고등과학원 교수).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우주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딴 그는 역사서에 등장하는 천문 현상을 첨단기법으로 시뮬레이션해 이같은 결론을 이끌어냈다.

박 교수는 삼국사기의 천문 기록이 중국·일본 사서보다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혀낸 뒤 이를 토대로 고구려·백제·신라의 일식 기록을 분석해 천문 관측처(수도)가 중국 대륙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고조선 역대 단군(임금)의 행적을 기록한 ‘단기고사’ ‘단군세기’에 등장하는 ‘오성취루(五星聚婁)’가 BC 1734년 실제 있었던 천문현상이며, 그 발생과 사서의 기록에는 1년의 오차가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오성취루’는 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의 다섯 행성이 한 별자리 부근에 모이는 현상이다.

박 교수의 연구방법이 전문적인 데다 내용이 갖는 폭발성이 워낙 크기 때문인지 아직은 이를 비판하거나 뒷받침하는 후속 연구성과는 나오지 않은 듯하다. 다만 이를 계기로 ‘고천문학(古天文學)’이 별도의 학문 분야로 인정받았고 연구자가 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천문 현상을 ‘하늘의 뜻’으로 여겨 세밀하게 관찰했으며 일일이 기록했다.

따라서 멀리는 고조선, 가깝게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에 이르는 수천년의 천문 기록을 가진 우리 문화는 고천문학의 보고이다. 그뿐이 아니다. 세계에서 고인돌을 가장 많이 보유한 우리 땅에서 고인돌에 새긴 별자리가 속속 발견되고 있다. 관련 연구가 진행되면 별자리 기록의 역사는 몇천년을 더 거슬러 올라갈 것이다.

현대 천문학으로도 풀지 못한 ‘물병자리’ 변광성(變光星)의 비밀을 ‘고려사’와 ‘증보문헌비고’의 기록을 분석해 밝혀냈다는 보도가 어제 있었다. 고천문학이 올린 또 하나의 개가이다. 그러나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믿는다. 고천문학의 발달과 함께 우리 민족의 유구한 역사성, 높은 과학 수준은 계속 입증되리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서울신문 / 이용원 논설위원 2005-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