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역사전쟁’ 극복하는 국사교육을

역사를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한 사람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역사학자 E H 카이다. 이에 앞서 실증주의 역사관을 완성한 랑케는 “역사가의 의무는 다만 ‘그것이 실제로 어떠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동양 역사학의 비조(鼻祖)사마천은 “과거의 행위를 궁구하고 그 성공과 실패, 흥기와 쇠망의 배후에 가로놓인 원리를 탐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2004년이 저물어가는 이 시점에서 이같은 역사(학)에 관한 개념들은 부질없어 보인다. 특히 한국·중국·일본 등 동북아시아 3국 사이에서 올해 발생한 역사분쟁을 보면 역사란 그저 이웃나라를 공격하고 내 안을 단속하는 정치적 수단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지우기 힘들다.

올해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군 화두 가운데 하나가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 기도이다. 지난해에야 비로소 우리에게 알려진 ‘동북공정’은 고구려·발해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규정, 중국사로 편입하려는 5개년 프로젝트이다. 한국측 반발이 거세지자 지난 8월 중국의 고위 외교당국자가 내한, 한·중간 ‘5대 양해사항’에 합의했지만 중국의 역사왜곡은 계속되고 있다. 아울러 한·일, 중·일 간에도 일본의 중등교과서 우익화 경향에 따른 한·중 양국의 항의, 시정 요구가 끊이질 않았다.

이처럼 3국 사이에 벌어진 ‘역사전쟁’을 두고 국내 학계 일부에서는 이를 편협한 민족주의로 치부하는 비판적인 목소리가 튀어나왔다. 곧 현대국가의 국경 개념을 고대국가에 적용해 영토다툼을 벌이는 일은 어리석은 짓이라는 주장이다. 이들은 심지어 민족을 운위하는 것은 국수주의라며 ‘국사 해체론’까지 들고나왔다.

민족주의의 한계를 뛰어넘자는 목소리에 시비를 걸 생각은 없지만 이 시대, 한국사회에서 그들의 주장은 비현실적일 수밖에 없다. 우리에게는 고대사 영역 주장이 현재의 군사적 침략으로 이어지는 것을 경험한 뼈아픈 역사가 있다. 일제가 침략할 때 내세운 것이 ‘남선(南鮮)경영론’이다. 4∼6세기에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200여년 경영(지배)했으므로 조선에 ‘진출’하는 것은 잃어버린 옛땅을 되찾는 일이라는 명분이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도 결국은 역사의 산물이다.

이같은 동북아의 현실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국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찬란한 한민족의 고대사’를 만들어내자는 것이 아니다. 노골적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이를 언제라도 침략의 빌미로 삼을 수 있는 이웃나라들의 ‘역사 침공’에서 적어도 우리것을 알아야 지켜내지 않겠느냐는 방어 논리에서 하는 말이다.

그런데 각급 학교의 국사교육 현실은 어떠한가. 2001년 제7차 교육과정을 시작한 뒤 국사 시간은 대폭 줄었고 특히 수능시험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분류돼 많은 고교생이 국사 수업을 포기한다. 2005학년도 수능시험 응시자 60만여명 가운데 국사를 선택한 사람은 16만명이 채 안 됐다. 산술적으로만 말하면 고교생 넷 중 셋은 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졸업한다는 뜻이다.

엊그제 흥사단 강당에서 열린 ‘국사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는 다양한 국사 교육 강화방안이 제시됐다. 그러나 국사에 관심 있는 이나 정책당국자라면 새로운 내용이 없다는 사실을 잘 안다. 우리의 국사 교육이 진단을 못 내리고 처방전이 없어서 이 지경이 된 것은 아니다. 사회가 우리 역사의 중요성에 다같이 공감하고 이를 되살리는 데 힘을 합하면 이는 금세 해결될 문제이다.“국학과 국사는 혼이며, 경제와 군대는 넋이다. 국학과 국사가 망하지 않는다면 그 나라도 망하지 않는다.”는 박은식 선생의 말씀을 다시금 되새겨야 할 시점이다.

(서울신문 / 이용원 논설위원 200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