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전에도 "間島는 우리땅"

“중공(中共)이 6·25 참전 대가로 백두산 부근 약 250평방㎞ 땅의 할양을 북괴(北傀)에 요구했다는 보도가 전해졌다.… 을사조약에 의거한 간도협약은 당연 무효가 되어야 할 것이다.” 1969년 5월 29일자 조선일보에 원봉(圓峯) 유봉영(劉鳳榮·1897~1985)이 쓴 글의 첫머리다.

조선과 청의 경계를 정한 ‘토문강’의 존재가 분명히 기록된 1909년 간도협약 당시의 일본 지도가 발견된 것을 계기로 조선일보는 최근 ‘간도는 조선 땅’이라는 기획기사를 썼다. 일제가 ‘간도협약’을 통해 청에 간도 영유권을 인정한 것이나 중국이 북한과 1962년 맺은 ‘조·중(朝·中) 변계(邊界)’가 모두 무효라는 국제법 전문가들 의견이 ‘간도 한국 영유권’ 기사의 바탕이 됐다.

그러나 이번 기획기사는 결코 새로운 주장이 아니었다. 지금부터 꼭 35년 전, 중국이 북한에 백두산 일대 옛 간도의 영토를 요구한다는 외신을 놓고 백산학회 부회장이며 조선일보 당시 부사장이었던 민족주의자 유봉영이 똑같은 주장을 이미 했던 것이다. 바로 옆 박스 기사에서 장편 소설 ‘북간도’의 작가 안수길은 “간도의 한인들은 청나라의 ‘입적(入籍)’ 제의를 거부했다”는 현장 증언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1962년 조·중 변계조약이 체결되면서 북한이 간도 영유권을 포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역사학자 치암(癡菴) 신석호(申奭鎬)는 “백두산 동북쪽 간도(間島) 지방을 회수해야 한다”며 ‘간도 수복론’을 제기했다. 신석호의 간도 수복론을 백산학회 창립으로 발전시켰던 사람이 바로 유봉영이었다.

‘중공’과 ‘북괴’가 ‘중국’과 ‘북한’으로 바뀌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간도 영유권 문제 제기는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 학계와 언론만 다급할 뿐,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도 마찬가지다.

(조선일보 / 유석재 기자 2004-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