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 국력이다

‘체력은 국력이다’라는 말은 바뀌어야 할 것 같다. ‘인구가 국력이다’로.

이 명제는 이번 올림픽에서 다시 한 번 입증됐다. 올림픽 메달순위에서 중국과 일본의 부상, 러시아의 침몰이 두드러졌다. 그 막강하던 러시아도 나라가 쪼개지고 인구가 감소하면서 힘을 잃었다.

편파판정 시비도 묘하게 강대국과 약소국 간에만 벌어졌다.

지구상에 강대국치고 인구가 적은 나라는 없다. 최소한 인구 1억명이 넘어야 강대국 행세를 할 수 있는 게 현실이다. 인구가 국력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필요조건임에는 틀림없다.

6·25전쟁 당시 중국 인민군의 인해전술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그 때 참전용사들은 너무나 공포스러웠다고 증언한다. 그 중국이 이젠 군이 아닌 민의 인해전술로 세계를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고 있다. 어마어마한 인구에 기반을 둔 시장과 자금력으로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의 힘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세계 곳곳에 소위 화교경제권을 심어두고 있다. 화교들은 동남아는 물론 유럽·남미·동구 등에서 막강했던 유대경제권을 넘어서고 있다.

중국뿐 아니다. 일본도 남미를 중심으로 막강한 경제권을 구축하고 있다. 2차대전 패전으로 이민수출이 많았던 칠레에서는 경제권을 완전히 장악했으며 브라질·아르헨티나 등지에서도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최근 고구려 역사를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억지주장도 그 원인은 사람에 있다. 옛 고구려 땅에 한국사람이 너무 없다. 온통 중국사람뿐이다. 중국의 한족은 한때 자기네를 지배했던 만주족까지 국민으로 편입시켰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반대다. 인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정부가 뒤늦게 세번째 자녀에게 각종 혜택을 제공하며 다산을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 생각해 보면 지난 70년대 ‘둘만 낳아 잘기르자’던 산아정책은 매우 근시안적이었다.

이젠 인구가 곧 국력인 시대다. 한국은 국토나 천연자원이 보잘 것 없다. 자원은 오로지 사람뿐이다. 유일한 우리의 자원인 인구라도 많아야 세계무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불행 중 다행으로 한국인의 두뇌와 손재주는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셋이든 넷이든 가능하면 많이 낳자. 그래서 사람을 수출하자. 국적이나 거주지는 문제가 아니다. 어디에 살든, 어느 국적이든 한국의 피가 흐르면 한국 사람이다.

(전자신문 / 디지털산업부·유성호 부장 2004-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