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식 교수 "淸·日간 간도협약 무효화돼야”

“중국이 지금까지 동북공정을 줄기차게 추진해온 목적은 결국 간도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정부나 북한은 간도 문제와 관련해 중국에 당당하게 주장해야 합니다.”

최근 ‘간도학회’ 를 창설한 신형식 상명대 초빙교수의 각오는 어느 때보다 새롭다. 바야흐로 우리 정부와 중국 북한 러시아간에 향후 논쟁이 벌어질지도 모를 간도지역 문제를 연구하기 때문이다.

사단법인 ‘간도 되찾기 운동본부’의 대표이기도 한 신 교수는 “청나라와 일본이 1909년에 맺은 간도협약이 지금 우리의 북방영토를 구획짓고 있으나 이는 원천적으로 무효”라며 “간도가 우리 땅임을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국제정치적으로 인정받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도학회는 이 같은 취지를 바탕으로 신 교수를 비롯해 노영돈 인천대 교수, 김우준 연세대 연구교수, 신주백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책임연구원 등 많은 학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신 교수는 주변의 많은 학자들이 취지에는 호응하지만 선뜻 간도학회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영토문제를 연구하려면 법률과 국제정치 등에 보다 고도화된 전문 지식이 필요하고 학문 분야간의 영역을 허물어야 하기 때문에 연구참여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현재 학계간의 벽을 허물고 공동연구를 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면서 “특히 우리 국사학회는 그동안 줄곧 독립, 항일운동에만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간도를 심층적으로 접근한 전문가가 별로 없는 실정에서 간도의 공동연구의 필요성이 어느때보다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이와 관련, “기존의 한국사학회는 물론 정치학회와 국제정치학회, 법률학회 등에서도 모두 참여해야 간도문제에 대해 진지한 연구가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협약은 100년을 효력기간으로 보는데 간도협약은 2010년이 100년이 되는 만큼 그전에 우리 정부나 정치권에서 공식적으로 무효화선언을 해주는 것이 여러 면에서 적절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간도 문제와 관련해 정부나 정치권의 반응은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간도사진전을 열었고 의원들을 만나 무효화선언을 추진했지만 50명 정도만 서명하는 데 그쳤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정치권과 접촉하다 보니 보이지 않는 한계를 느꼈다”며 “국회가 간도협약의 부당성을 발표하는 결의를 반드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학자들은 간도와 관련된 지도를 비롯한 자료를 비축하면서 토문강이 두만강이 아닌 송화강이라는 것을 안팎으로 널리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간도협약문제의 불법성을 알리고 무효화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신 교수는 “중국은 남북 통일 이후에 대비해 동북공정을 추진해온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는 간도 문제를 정치화하고 이슈화해야 하는데 적극 나서는 사람들이 없는 것은 아쉬운 일”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세계일보 / 임정빈 기자 2004-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