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사 전쟁 이제부터 시작

정부는 최근 신화통신과 인민일보 등 중국 주요 언론들이 "고구려는 중국의 지방정부" 라고 보도한 것과 관련해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5일 정부는 그 동안 학술매체를 통해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 했던 중국 정부가 관영 언론매체를 통해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는 점을 주목하고 중국 정부의 고구려사 왜곡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이고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박흥신 외교통상부 문화외교국장은 "정부는 고구려 역사는 한반도와 불가분한 역사의 일부분으로 어떤 경우에도 이를 훼손하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 이라며 "고구려가 중국 역사의 한 부분이었다는 주장이 공식화되는 일을 차단하기 위해 민간 차원에서 만들어진 고구려연구재단을 중심으로 대처하면서 정부 차원에서도 철저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국장은 "우리 정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접촉하고 있다" 면서 "고구려사 문제는 정치적으로 이슈화하지 않고 학술문제로 국한하기로 양국 정부간에 합의가 된 문제지만 중국 정부가 역사 왜곡 움직임을 공식화한다면 우리 정부도 가만 있을 수 없는 것 아니냐" 고 설명했다.

신화통신은 지난 2일자 보도에서 "고구려는 역대 중국 왕조와 예속관계를 맺어 왔고 정치와 문화 등 각 방면에서 중원왕조의 강렬한 영향을 받았다" 고 주장 했다.

관영 인민일보도 같은 날 고구려에 대해 "중국의 고대 소수민족" 이라고 보도 했다.

학계에서는 이 문제와 관련해 "중국 정부의 고구려사 왜곡 움직임은 충분히 예상됐던 일인 만큼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는 반응을 보였다.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교수는 "중국 정부는 국제 사회에서 자국의 영향력이 남 ㆍ북한 보다 훨씬 크다는 점을 이용해 동북공정을 국제사회에 대대적으로 홍보 할 것" 이라며 "이번 세계문화유산 지정은 중국 입장에서는 고구려사를 자국사에 편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시작일 뿐" 이라고 말했다.

그는 "근현대사에 있어 일본의 패권주의를 비판해온 중국이 고대사에 있어 일본과 똑같은 패권주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꾸준히 지적해야 한다" 며 "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영미권 동양학 관련 학자들로 하여금 한국 역사를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만드는 노력도 필요하다" 고 주장 했다.

전호태 울산대 교수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움직임과 관련해 북한과 협력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고 밝혔다.

그는 "북한에 있는 유적의 보존 관리와 남ㆍ북한 공동 연구, 남북간 문화재 교류 등 협력 여지는 많다" 며 "지난해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움직임이 구체화된 후 학계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한 움직임이 있었지만 이제는 정부가 중심이 돼 교류가 이뤄져야 할 때" 라고 말했다.

(매일경제 200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