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민족주의 버릴 것인가

최근 전국역사학대회와 철학연구회 학술대회에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을 주제로 하여 전국 규모의 학술대회가 열렸다. 역사학 관련 학회뿐만 아니라 철학연구회에서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한 것은 그만큼 이 문제가 단순히 역사학만의 문제가 아니라 여러 가지 문제를 포괄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두 전국 규모의 학술대회에서 논의의 쟁점이 된 것은 민족 단위의 역사 인식과 서술을 고수할 것인가, 아니면 이를 벗어나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즉 고구려사의 귀속문제에 대해 중국과 한국이 갈등을 벌이는 것은 민족 중심으로 역사를 인식하고 서술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민족중심의 역사 인식과 서술을 벗어나 탈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역사를 인식하고 서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종래의 민족주의적 관점의 역사인식과 서술을 탈피하고 세계화시대에 맞추어 역사 주체의 단위를 민족을 초월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민족주의는 더 이상 세계화시대의 지향하여야 할 보편적 가치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보면서 안타까운 것은 고구려사를 가지고 중국과 한국이 서로 자기의 역사로 편입시키려고 싸움을 하고 있다고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중국은 2002년 2월 ‘동북공정’을 시작하기 이전까지는 고구려의 역사를 ‘일사양용론’적 입장에서 인식하고 서술하였다. 더구나 중국의 역사교과서에는 아직도 고구려를 중국의 역사가 아닌 한국의 역사로 기술하고 있다. 즉 고구려의 역사의 귀속문제에 대해 중국이 본격적으로 나선 것은 최근의 일로서 역사학적 접근이 아니라 정치적 접근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역사를 보는 관점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목적에 의한 왜곡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중국이 애국주의적이고 팽창주의적 입장에서 고구려사를 새삼스럽게 귀속시키려 한다는 점을 일차적으로 지적하는 것이 올바른 자세일 것이다. 그러고 나서 우리의 역사 인식과 서술의 문제점을 반성하고 비판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또한 민족주의라 하더라도 공격적 민족주의와 저항적 민족주의는 그 성격이 다른 것이다. 공격적 민족주의는 다른 민족을 해치고 식민지화하는 배타적 성격을 갖고 있지만 저항적 민족주의는 민족의 생존을 위한 처절한 생존전략이기 때문이다. 일제시대 민족주의가 없었다면 우리가 굳이 독립운동을 할 필요가 있었겠는가? 민족을 지키기 위해 민족중심의 입장에서 역사를 연구하고 서술하는 민족주의사학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물론 광복이후에는 민족중심에서 벗어나 민족과 세계를 함께 아우르며 역사를 인식하고 서술하는 신민족주의사학이 제창되었으며,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이 이러한 입장에서 한국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세계사의 보편성과 한국사의 특수성을 함께 고민하면서 우리의 역사를 바로보고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세계화시대를 맞이하여 서구와 같이 국경을 허물고 유럽공동체와 같이 지역공동체를 지향하는 시대에 민족이라는 개념은 전혀 필요가 없는 개념인 것인가? 적어도 우리의 경우는 서구사회와 역사적인 경험과 현실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우선 우리는 아직 통일을 이루지 못해 진정한 의미의 민족국가를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 민족국가도 이루지 못한 상황에서 탈민족주의를 주장하는 것은 ‘우물에 가서 숭늉 달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물론 민족중심으로만 역사를 이해하는 차원에서 나아가 그 범위를 넓히고 보다 넓은 시각에서 역사를 보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민족의 특수성과 세계사적 보편성을 함께 고려하면서 역사를 인식하고 서술하는 자세가 아직도 유효한 것이라 생각한다. 배타적이 아닌 열린 민족주의 입장에서 우리의 역사를 연구하는 자세는 민족국가를 이룩하지 못한 현재 아직도 유효한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최광식 / 고려대 역사학 교수>

(서울신문 2004-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