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고대史 전쟁] 서희의 일갈에 거란 대군 퇴각

거란의 소손녕은 993년(성종 12년) 8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에 침입했다.

서희(흉상 사진)는 중군사(中軍使)가 되어 북계(北界)에 주둔했다. 소손녕의 군대 규모와 협박에 조정에서는 서경 이북의 땅을 베어 주자는 할지론(割地論)이 대세를 이뤘다. 그러나 서희는 반대했고, 마침내 국서(國書)를 가지고 소손녕의 진영에 가서 담판하는 책임을 맡았다.

그는 상견(相見)하는 예(禮)를 놓고 줄다리기를 하여 끝내 소손녕과 뜰에서 서로 인사하고 당(堂)에 올라가 예를 행한 후에 동서(東西)로 마주 앉았다. 서로 대등한 위치를 확보한 것이다. 소손녕이 서희에게 말했다. “그대 나라는 신라 땅에서 일어났고, 고구려 땅은 우리의 소유인데 그대가침식(侵蝕)했다. 또 우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데도 바다를 넘어 송(宋)을 섬기는 까닭에 오늘 출병하게 된 것이다. 만일 땅을 베어서 바치고 조빙(朝聘)하면 무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듣고 서희는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가 곧 고구려의 옛 땅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나라 이름을 고려라 했고, 평양에 도읍한 것이다. 만일땅의 경계로 말한다면, 그대 나라의 동경(東京)도 우리 경내(境內)에 있으니 어찌 침식했다 하는가. 그리고 압록강 안팎도 우리의 경내이다.

지금 여진이 그 사이에 몰래 거주하는데 거칠고 사악하여 길을 막고 있다. 그 길을 뚫고 가는 것이 바다를 건너는 것보다 더 어렵다. 우리가 조빙하지 않는 것은 바로 여진 때문이다. 만일 여진을 쫓아내고 우리 옛 땅을 회복하여 성을 쌓고 도로를 통하게 하면 어찌 교빙(交聘)하지 않겠는가.

장군이 만일 내 말을 황제에게 보고하면 어찌 기쁘게 받아들이지 아니하겠는가”라고 말했다.

소손녕이 강제로 누를 수 없음을 알고 거란 임금에게 보고하고 철군하기로 결정했다. 서희는 소손녕의 후한 대접을 받으며 거란 군영에 7일이나 머물다가 낙타 10마리, 말 100필, 양 1,000두와 비단 500필을 선물로 받고 돌아왔다 (‘고려사’ 권94, 서희 열전).

중국 지안의 5세기 중엽 고구려 무덤인 장천 1호분의 북두칠성 벽화(왼쪽)와 경기 파주 서곡리에 있는 14세기 말 고려 고분의 북두칠성 그림. 무덤천정에 있는 두 성진도(星辰圖)가 고구려와 고려의 문화계승을 입증한다.

(한국일보 2004-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