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미스터리]고구려는 天子國 자처
고구려는 과연 천자국을 지향했을까. 그렇다면 백제·신라는 고구려의 제후국이었나. 호로고루를 비롯한 임진강·한강 유역의 고구려 유적들을 살펴보면 이상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고구려 유적들이 한결같이 선(線)의 개념으로 분포돼 있다는 점이다. 고구려가 백제·신라를 치고는 점령지역을 정치적·행정적으로 다스리지 않고 오로지 군사 루트만을 개척한 뒤 보루 위주의 성을 쌓았다는 걸 말해준다.
최종택 고려대 교수는 “미군의 이라크 공격때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영역확보 대신 보급선만 확보하고 진격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비유했다. 심광주 토지박물관 학예실장이 추정하는 고구려군 남하 루트는 이렇다.
475년 장수왕이 이끄는 고구려군은 개성을 거쳐 호로고루로 우회한다. 개성~장단~파주~고양 루트를 선택하지 않은 것은 1,500년 뒤의 북한군 남침때와 마찬가지 이유. 기마병 부대가 건널 수 있는 곳은 호로고루뿐.
그 뒤의 남하 루트는 두 가지. 감악산 남서쪽 323번 도로 루트이거나, 혹은 37번 국도를 따라 적암리쪽으로 우회한다. 368번 국도를 따라 의정부~상계동~아차산에 이른 뒤 한성백제의 도성인 풍납토성을 공격, 개로왕을 죽인다.
눈에 띄는 것은 한강유역 40여개 고구려 유적들이 대부분 둘레 400m 안팎의 소규모 보루들뿐이라는 점이다. 아차산 일대 보루의 경우 군사 루트를 따라 500~1,000m 거리에 하나씩 모두 20여개가 배치돼 있다. 반면 지안이나 평양, 황해도의 고구려 산성들은 수㎞~10㎞가 넘을 만큼 그 규모가 엄청나다. 신라가 삼국통일 뒤 한강유역에 이성산성과 아차산성, 대모산성 등 큰 성을 쌓고 주변지역을 행정적·정치적으로 지배한 것과도 크게 구별된다. 점령지역에 대한 고구려의 통치방법을 알려주는 단서.
광개토대왕 비문은 “(396년) 왕이~백제의 성을 포위하니 백잔왕이~무릎을 꿇고~영원히 고구려왕의 노객(奴客)이 되겠다고 하였다. 58성, 700촌을 획득하고 백잔왕의 아우와 대신 10인을 데리고 수도로 개선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중원고구려 비문에도 “신라 매금과 세세토록 형제와 같이(如兄如… 弟) 상하가 화합하여~”라는 구절이 있다.
고구려는 백제와 신라를 ‘노객’ 혹은 ‘형제국’으로 삼았다는 것. 또 점령지역을 지배하지 않고 인질과 노획물만 지니고 귀국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심광주씨는 “만주일대를 정복한 대제국 고구려가 혹 황제의 나라를 칭하여 백제·신라를 조공국가로 삼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했다. (경향신문 2004-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