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연구재단'' 내달 출범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대응, 국내의 고구려사 연구를 지원키 위한 연구센터의 명칭이 ‘고구려 연구재단’으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학계가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의 독립 연구재단이 될 ‘고구려 연구재단’은 중점 연구영역을 고구려에 두되 고조선, 부여, 발해 등 한민족의 근간을 형성했던 고대사까지 포괄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재단 연구 영역을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근현대사까지 확장해 동북아의 역사를 포괄적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일부의 주장에 대해서는 이러한 확대가 당초 재단 설립의 목적을 흐릴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고려치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구려 연구재단’ 설립추진소위원회의 한 위원은 10일 “기본적으로 소위원회는 재단이 당면 현안인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학문적 규명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재단의 명칭과 성격, 연구 범위를 둘러싼 그동안의 논란이 12일 공청회 때는 최종 확정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가닥을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재단 설립 논의의 효율성을 위해 지난 4일 설립총회에서 김정배 추진위원장의 제안으로 구성된 소위원회에는 김성훈(중앙대) 안휘준(서울대) 최광식(고려대) 교수 등 학계와 박원철(고구려역사지키기범민족시민연대 준비위원장) 안병우(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상임공동대표) 등 시민단체 인사, 이수일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정책실장 등 민·관·학 인사 12명이 참여하고 있다.

12일 공청회에서는 여호규 한국외대 교수의 소위원회 활동과 논의에 대한 경과 보고 후 서길수(고구려연구회) 안병우 박원철 이문기(한국고대사학회장)씨의 집중 토론에 이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설립추진위원회는 이후 18일 발기인 총회에서 정관을 확정하고 사업계획서 심의 등 준비작업을 완료한 뒤 3월 1일 대국민 선언과 함께 이사회(7∼15명)와 연구자문위원회 등 2부7실로 구성된 연구재단을 공식 발족할 계획이다.

(세계일보 2004-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