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도부 `역사 배우기´ 열풍

중국 고위 공직자들 사이에서 ‘역사 배우기’ 바람이 불고 있다. 중화(中華)의 유구한 역사적 뿌리를 통해 21세기 부국강병의 현대화를 실현하자는 취지로 보인다.

중국 중앙정부의 장관급 140명은 지난달 31일 베이징의 국립도서관에 모여 아편전쟁(1840년)부터 신중국 건국(1949년)의 시기까지 격동의 근대사 강의를 들었다.

강의를 맡은 진충지(金忠及) 중국사학회 회장은 ▲중국 인민이 공산혁명에 헌신한 이유 ▲민족독립 실현의 조건 ▲현대화와 번영 ▲공산당의 역사적 임무 등에 대해 중점 강연했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이번 역사교육은 고위관리들이 역사의 교훈을 선진문화 창달과 접목시키도록 문화부, 사회과학원, 국립도서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 겸 당총서기와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물론 공산당 중앙정치국원 전원이 ‘15세기 이후 세계 주요국가의 역사발전’이란 주제의 학습을 했다. 후진타오 당총서기는 이 자리에서 “중국을 개혁하고 미래를 열어 나가자면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공산당의 권력핵심까지 마오쩌둥(毛澤東)사상 등 공산 이데올로기 대신 ‘역사’를 앞세우는 배경이 심상치 않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동력이 떨어진 사회주의 대신 중화주의를 13억 인구의 결집 수단으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있게 제기된다.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베이징 올림픽 유치에 이어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5호 발사 성공 이후 중국 전역을 휩쓰는 중화주의 물결과도 맥이 닿는 대목이다. 이번 장관급 역사교육에서도 20세기 초 쑨원(孫文)이 제기한 ‘중화민족의 부흥’의 원인과 배경이 집중 거론됐다고 한다.

역사가 미래의 거울이라는 점에서 중국 지도부의 온고지신(溫故之新)적 사고는 나무랄 일이 아니다.

그러나 지나친 중국역사의 강조가 고구려 역사왜곡 논란을 빚고 있는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사례에서 보듯 ‘패권적 중화주의’로 치달을 수 있음을 우리는 경계해야 한다.

(서울신문 20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