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은 위만조선 중심 아닌 변방"

한나라가 위만조선(BC 195년경~BC 108년)을 무너뜨리고 설치했다는 4개 군(郡) 중에서 낙랑군은 지금의 평양 일대임은 분명하나 그 중심지는 만주 어느 곳이며 낙랑은 위만조선 변방이라는 주장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수도가 있던 위만조선 중심지가 어디인가는 논란이 분분하지만 남한 강단사학 계에서는 일찌감치 평양으로 확정돼 있는 상태이며 단재 신채호와 위당 정인보를 계승하고 있던 북한 학계도 1993년 이른바 단군릉 발굴 이후 오랫동안 주장했던 요동 중심지설을 버리고 평양 중심설을 따르고 있다.

지금의 평양 일대가 옛 낙랑군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문헌기록으로 보나, 지금까지 이뤄진 발굴성과를 보나 중국적인 색채가 농후한 것만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올들어 남한 학계에서 나온 논문 두 편이 약속이나 한 듯이 평양 일대 가 위만조선 중심지였다는 통설을 부정하며 그 중심지를 다른 곳에서 찾고 있다.

우석대 사학과 조법종 교수는 지난 5월 서울대에서 개최된 전국역사학대회에서 발표한 「위만조선의 붕괴시점과 왕험성.낙랑군의 위치」라는 글에서 문헌기록 검토를 통해 낙랑군이 평양일대에 있었음은 사실이나 그 중심지는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 이보다 앞서 올 2월 전남대 사학과 대학원 김남중씨가 제출한 이 대학 석사 학위 심사 통과 논문 「위만조선의 영역과 왕검성의 위치」 또한 문헌기록에다가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곁들여 비슷한 학설을 내놓았다.

이 중 조법종 교수는 위만조선 멸망 과정과 이에 따른 한 무제의 사군 설치 및 공신 책봉 내용을 전하고 있는 『사기』 및 『한서』 기록 분석을 통해 고조선 멸망 시점은 BC 108년이 아닌 107년이며 낙랑.진번,임둔,현도의 이른바 사군 중 현도군이 가장 늦게 설치됐음을 증명하고 있다. 이런 주장은 이전에도 있었다.

하지만 조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낙랑군이 위만조선 왕성인 왕험성 이 함락되기도 전인 BC 108년에 임둔, 진번군과 함께 설치된 것으로 보아 그 위치는 왕성이 있던 위만조선 중심지가 아니라 변방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사군 중에서도 현도군이 가장 마지막으로, 즉 왕험성이 위만조선 조정 내부 분란으로 무너진 다음에 비로소 설치된 점을 근거로 현도군이 설치된 곳이 바로 왕험성이 있던 곳이자 위만조선 중심지였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조 교수는 왕험성이 구체적으로 현재의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놓긴 했으나 위만조선 마지막 중심지를 요동에서 찾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김남중씨의 석사논문도 고고학 발굴성과를 곁들여 평양일대 낙랑군이 위만조선 멸망 당시 그 중심지였다는 증거가 없다면서 조 교수처럼 역시 현도군 일대에서 중 심지를 찾고 있는데 대담하게 나중에 고구려가 일어선 초기수도인 지금의 환인지역을 왕험성으로 지목하고 있다.

물론 이런 주장에 대한 남한학계의 반응은 아직까지는 싸늘하다. 그렇지만 위만 조선 마지막 중심지, 즉 왕험성 및 낙랑군 위치에 대한 논란을 설명 중 지금까지 나온 학설 어느 것보다 합리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연합뉴스 2000-9-19)